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제주항공 조류 충돌 간사이 회항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원인: [[조류 충돌]]
* 원인: [[조류 충돌]]
* 탑승: 193명 (승무원 6명 포함)
* 탑승: 193명 (승무원 6명 포함)
* 내용: 간사이공항 이륙 직후 [[조류 충돌]] 발생 → 간사이공항으로 [[회항]]
* 내용: 간사이공항 이륙 직후 [[조류 충돌]] 발생 → 간사이공항으로 [[회항]]<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9584 193명 탄 제주항공, 이륙 직후 오사카로 긴급회항…무슨 일(2022.11.22)]</ref>


== 논란 ==
== 논란 ==
2023년 4월, 직장인 익명 SNS 블라인드(Blind)에 폭로성 글이 게재됐다. “22년 11월 20일 오전 11시경 7C1381편이 간사이공항에서 이륙하고 한쪽 엔진이 심각한 고장 / 안전 절차에 따라 조종사가 고장난 엔진 중지하고 [[비상선언]] 후 남은 엔진 하나로 간사이 공항으로 회항 / 지상에서 [[정비사]]와 [[기장]]이 엔진 점검 / 새충돌 흔적이 없음 즉, 엔진 자체의 심각한 고장 (이하 생략)”라는 내용이었다.
2023년 4월, 직장인 익명 SNS 블라인드(Blind)에 폭로성 글이 게재됐다. “22년 11월 20일 오전 11시경 7C1381편이 간사이공항에서 이륙하고 한쪽 엔진이 심각한 고장 / 안전 절차에 따라 조종사가 고장난 엔진 중지하고 [[비상선언]] 후 남은 엔진 하나로 간사이 공항으로 회항 / 지상에서 [[정비사]]와 [[기장]]이 엔진 점검 / 새충돌 흔적이 없음 즉, 엔진 자체의 심각한 고장 (이하 생략)”라는 내용이었다.


회사 측은 "1차 관제 보고가 [[조류 충돌|버드스트라이크]]였으며 승객 하기 후 점검해 보니 엔진이 파손돼 있어 정확한 원인을 알기 위해 독일에 위치한 엔진 수리처에 수리와 원인 조사를 의뢰한 상황이다"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그리고 SNS에 올라온 폭로성 글은 곧 삭제되었는데 이와 관련된 '엔진 결함 은폐 지시' 의혹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고 부인했다. ([https://archive.is/vPJuu 관련 게시물])
회사 측은 "1차 관제 보고가 [[조류 충돌|버드스트라이크]]였으며 승객 하기 후 점검해 보니 엔진이 파손돼 있어 정확한 원인을 알기 위해 독일에 위치한 엔진 수리처에 수리와 원인 조사를 의뢰한 상황이다"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그리고 SNS에 올라온 폭로성 글은 곧 삭제되었는데 이와 관련된 '엔진 결함 은폐 지시' 의혹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고 부인했다. ([https://archive.is/vPJuu 관련 게시물])<ref>[https://www.imsn.kr/news/articleView.html?idxno=9656 제주항공 회항 은폐지시 의혹 글 왜 모두 삭제됐나(2023.4.14)]</ref>


하지만 또 다른 게시자는 “지상에서 정비사와 기장이 엔진 점검 새 충돌 흔적 없음 엔진 자체의 심각한 고장”이었다며 “서울 사무실에 있던 운항본부장이 버드스트라이크 때문에 엔진이 고장났다고 허위 처리와 준사고 은폐 지시 국토부에 허위보고서가 작성됐다”고 폭로했다. 아울러 "비공식 사내 조사 결과는 비행 중 엔진 내부 부품 이탈로 엔진에 심각한 손상으로 결론"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또 다른 게시자는 “지상에서 정비사와 기장이 엔진 점검 새 충돌 흔적 없음 엔진 자체의 심각한 고장”이었다며 “서울 사무실에 있던 운항본부장이 버드스트라이크 때문에 엔진이 고장났다고 허위 처리와 준사고 은폐 지시 국토부에 허위보고서가 작성됐다”고 폭로했다. 아울러 "비공식 사내 조사 결과는 비행 중 엔진 내부 부품 이탈로 엔진에 심각한 손상으로 결론"이라고 덧붙였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 조사 ==
== 조사 ==
[[국토교통부]]는 "독일 엔진 제조사에서 사고 엔진에 대한 분석 결과가 나온 것을 토대로 사실관계를 재조사했다."며 최종 조사 결과는 6개월 정도 소요된다고 밝혔다. SNS에 제기된 '준사고 은폐 의혹'에 대해서는 사고원인 보고가 허위로 판명될 경우 엄정한 조치가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독일 엔진 제조사에서 사고 엔진에 대한 분석 결과가 나온 것을 토대로 사실관계를 재조사했다."며 최종 조사 결과는 6개월 정도 소요된다고 밝혔다. SNS에 제기된 '준사고 은폐 의혹'에 대해서는 사고원인 보고가 허위로 판명될 경우 엄정한 조치가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ref>[https://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9750 제주항공 간사이 공항 회항, 5개월 째 조사 진행 중…‘조류 충돌’ 아니었나?(2023.4.27)]</ref>
{{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