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바라공항: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새 문서: {{공항 | img = 파일:Plane arrival at Barra Airport.jpg | caption = 천연 활주로에 착륙한 항공기 | iata = BRR | icao = EGPR | open = | location = 스코틀랜드 서북부 | asl = 0-1m | rwy1 = 07/25 | rwy_len1 = 799m | rwy_remarks1 = 모래사장 | rwy2 = 11/29 | rwy_len2 = 680m | rwy_remarks2 = 모래사장 | rwy3 = 15/33 | rwy_len3 = 846m | rwy_remarks3 = 모래사장 | pax = 13,102명(2022년) | freight = | flight = 1,456회(2022년) | homepage = [https://www...)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영국 스코틀랜드 서북부 제도 중 하나인 바라 섬(Barra Island) 해변 일대 모래사장을 [[활주로]]로 사용하고 있는 특이한 [[공항]]이다.
영국 스코틀랜드 서북부 제도 중 하나인 바라 섬(Barra Island) 해변 일대 모래사장을 [[활주로]](비포장 활주로, 천연 활주로)로 사용하고 있는 특이한 [[공항]]이다.


== 특징 ==
== 특징 ==
다른 일반적인 [[공항]], [[비행장]]과는 달리 포장 활주로가 없고 넓게 펼쳐진 단단한 해변의 모래사장을 활주로로 사용하고 있다. 종종 외신에서 위험한 xx대 공항 중 하나로 꼽히곤 한다.
다른 일반적인 [[공항]], [[비행장]]과는 달리 포장 활주로가 없고 넓게 펼쳐진 단단한 해변의 모래사장을 활주로로 사용하고 있다. 종종 외신에서 위험한 공항 중 하나로 꼽히곤 한다.


만조 때는 활주로가 수면 아래에 잠기기 때문에 이착륙 시간대는 조수간만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
만조 때는 활주로가 수면 아래에 잠기기 때문에 이착륙 시간대는 조수간만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


이 공항을 운항하는 항공기는 대부분 프로펠러 기종인 DHC-6(Twin Otter)다.
이 공항을 운항하는 [[항공기]]는 대부분 프로펠러 기종인 DHC-6(Twin Otter)다.
 
== 운항 ==
이 공항에 [[플라이비(1979-2020)|플라이비]]가 운항했으나 파산하자 [[로건에어]](Loganair)가 플라이비 프랜차이즈 브랜드에서 벗어나 자기 브랜드로 바라공항 - 글래스고 구간에 운항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정기편 스케줄은 없는 상태다.


== 기타 ==
== 기타 ==
항공기 이착륙 시간대에는 [[Windsock]]이 내 걸리며 이 시간대에는 해변 출입이 금지된다. Windsock이 걸리지 않을 때는 관광객이 조개잡이 등으로 해변에 모이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항공기 이착륙 시간대에는 [[Windsock]]이 내 걸리며 이 시간대에는 해변 출입이 금지된다. Windsock이 걸리지 않을 때는 관광객이 조개잡이 등으로 해변에 모이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각주}}
{{각주}}

2024년 4월 4일 (목) 13:06 기준 최신판

바라공항
Plane arrival at Barra Airport.jpg
천연 활주로에 착륙한 항공기
IATA
BRR
ICAO
EGPR
위치 스코틀랜드 서북부
ASL 0-1m
활주로
방향 길이(m) 비고
07/25 799m 모래사장
11/29 680m 모래사장
15/33 846m 모래사장
통계
여객 13,102명(2022년)
운항편수 1,456회(2022년)
H/P 링크

스코틀랜드 서북부에 위치한 공항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영국 스코틀랜드 서북부 제도 중 하나인 바라 섬(Barra Island) 해변 일대 모래사장을 활주로(비포장 활주로, 천연 활주로)로 사용하고 있는 특이한 공항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다른 일반적인 공항, 비행장과는 달리 포장 활주로가 없고 넓게 펼쳐진 단단한 해변의 모래사장을 활주로로 사용하고 있다. 종종 외신에서 위험한 공항 중 하나로 꼽히곤 한다.

만조 때는 활주로가 수면 아래에 잠기기 때문에 이착륙 시간대는 조수간만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

이 공항을 운항하는 항공기는 대부분 프로펠러 기종인 DHC-6(Twin Otter)다.

운항[편집 | 원본 편집]

이 공항에 플라이비가 운항했으나 파산하자 로건에어(Loganair)가 플라이비 프랜차이즈 브랜드에서 벗어나 자기 브랜드로 바라공항 - 글래스고 구간에 운항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정기편 스케줄은 없는 상태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항공기 이착륙 시간대에는 Windsock이 내 걸리며 이 시간대에는 해변 출입이 금지된다. Windsock이 걸리지 않을 때는 관광객이 조개잡이 등으로 해변에 모이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