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 11분: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새 문서: ==마의 11분(Critical 11 Minutes)== 항공사고와 관련된 표현으로 항공기이륙할 때 3분, 착륙할 때 8분 사이에 항공사고가 가장 많...)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마의 11분(Critical 11 Minutes)==
마의 11분(Critical 11 Minutes)


== 설명 ==
[[항공사고]]와 관련된 표현으로 [[항공기]]가 [[이륙]]할 때 3분, [[착륙]]할 때 8분 사이에 항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해서 붙여진 표현이다.
[[항공사고]]와 관련된 표현으로 [[항공기]]가 [[이륙]]할 때 3분, [[착륙]]할 때 8분 사이에 항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해서 붙여진 표현이다.


원래는 TWA가 1959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항공사고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종사 안전 캠페인에서 사용한 캐치프레이즈였다.  
원래는 [[TWA]]가 1959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항공사고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종사 안전 캠페인에서 사용한 캐치프레이즈였다.  
 


==참고==
==참고==


* [http://www.airtravelinfo.kr/xe/1223158 이륙 3분, 착륙 8분 어느 쪽이 더 위험한가?]
* [http://www.airtravelinfo.kr/xe/1223158 이륙 3분, 착륙 8분 어느 쪽이 더 위험한가?]


{{각주}}
{{각주}}


[[분류:조종사]]
[[분류:조종사]]
[[분류:비행]]
[[분류:비행]]
[[분류:항공사고]]

2023년 1월 24일 (화) 12:12 기준 최신판

마의 11분(Critical 11 Minutes)

설명[편집 | 원본 편집]

항공사고와 관련된 표현으로 항공기이륙할 때 3분, 착륙할 때 8분 사이에 항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해서 붙여진 표현이다.

원래는 TWA가 1959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항공사고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종사 안전 캠페인에서 사용한 캐치프레이즈였다.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