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금지구역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문서
#redirect [[No-Fly Zone]]
| doc1 = No-Fly
}}
[[file:no_fly_zone.jpg|thumb|대한민국 비행금지구역(2015년 현재)]]비행금지구역(飛行禁止區域, No-Fly Zone)
 
== 개요 ==
국가기관이 군사목적 혹은 안전, 보안 등의 목적으로 설정한 비행할 수 없는 지역을 말한다. 일급 군사지역 상공이나 주요 시설물 상공 등을 필요에 따라 선정한다. 항공법에서는 ''''비행금지구역(Prohibited Area)''''로 명시되어 있다.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
 
항공법에 의해 법적으로 비행이 금지된 구역이므로 이 지역에서 비행(드론 포함)을 하고자 한다면 지방항공청 또는 국방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법적으로 비행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허가(승인)없이 비행하는 경우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우리나라 비행금지구역 <ref>[http://ubikais.fois.go.kr/biz/nps/map/index.html 노탐(NOTAM) 정보로 확인하는 비행금지구역(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확인 가능)]</ref><ref>[https://www.google.com/maps/d/u/0/viewer?mid=zXKS1gnPHvvg.ksl6JGBmFkok&hl 우리나라 비행금지구역 지도(드론동호회)]</ref>==
 
* 서울시 대부분, 휴전선 인근, 기타 지정된 비행금지구역
* 전국 비행장(민간공항, 군공항) 반경 9.3km 이내
* 모든 지역에서 150미터 이상의 고도
* 모든 지역에서 인구밀집지역 또는 사람이 많이 모인 곳의 상공
 
==참고==
 
* [[No-Fly]]: 항공기 탑승 금지 승객
* [[비행제한구역]]
 
{{각주}}
 
[[분류:비행]]
[[분류:항공정책]]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