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O: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정비산업)


== 설명 ==
생산에 직접 소요되는 원자재를 제외한 비전략적 간접자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항공산업에서는 [[항공기]] [[정비]]분야 사업을 총칭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생산에 직접 소요되는 원자재를 제외한 비전략적 간접자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항공산업에서는 [[항공기]] [[정비]]분야 사업을 총칭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대형 [[항공사]]들은 자체적으로 [[정비]], 수리 능력을 갖추고 사업을 운영하지만 소형 항공사나 [[지역 항공사]]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정비분야를 외부에 따로 계약을 체결해 지원받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항공기 정비, 수리 서비스만 전문으로 제공하는 업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대형 [[항공사]]들은 자체적으로 [[정비]], 수리 능력을 갖추고 사업을 운영하지만 소형 항공사나 [[지역 항공사]]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정비분야를 외부에 따로 계약을 체결해 지원받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항공기 정비, 수리 서비스만 전문으로 제공하는 업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MRO 현황==
== 참고 ==
 
우리나라 역시 [[대한항공]]을 제외하고는 자체 [[항공기]] 정비능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자체 정비능력을 어느정도 갖추고는 있으나 엔진이나 항공기 전체를 완전하게 정비하는 Overhaul 경우에는 외국 업체에 맡기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급성장 중인 [[저비용항공사]]들이 안고 있는 최대 고민 중 하나가 바로 [[MRO]], 정비서비스다. 대한항공 자회사인 [[진에어]]를 제외한 다른 [[저비용항공사]]들은 자체 정비능력이 없어 간단한 점검 외에는 모두 외부(외국) MRO 업체에 위탁하고 있다.
 
우리나라 항공정비 사업이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한 것은 2015년 경이다. 충북·청주 지역이 아시아나항공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함께 MRO 사업을 추진했지만 아시아나항공의 재무사정 악화와 사업성을 이유로 발을 뺐다.
 
부산 김해지역은 대한항공 테크센터가 있는 곳으로 유력 후보지였지만 대한항공의 사업 참여 의지가 없어 본격적으로 추진되지 못했다.
 
2017년 경남 사천 지역을 기반으로 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정부가 지원하는 항공정비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회계부정 사건 여파로 CEO까지 물러나는 등 자칫 MRO 사업 자체가 좌초될 위기가 있었지만 KAI의 적극적인 사업 의지와 사천 지역의 일관된 요구가 반영되면서 항공정비 사업자로 선정됐다.
 
2021년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이 부지를 제공하고 [[샤프테크닉스케이]]가 이스라엘 방산업체 [[IAI]]와 항공기 개조 공장 설립 계획을 알렸다.<ref name=":0" /> 이와 관련 경남 사천지역과 정치권은 인천공항이 현행법을 위반하면서 인천지역에 MRO 사업에 참여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남 사천지역의 요구는 MRO 산업은 사천지역으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인프라 및 접근성 측면에서 우리나라 국제선 관문 공항인 인천공항에 MRO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며 지역 및 정치권에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23034 MRO 사업두고 사천·인천공항 갈등 격화]</ref>
 
== 주요 국내 MRO 사업체 ==
 
===한국항공서비스(KAEMS)===
 
2017년 말 경남 사천 지역을 기반으로 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정부가 지원하는 항공정비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KAI는 2018년 6월 896억 원(신설 회사 지분의 65.8% 해당) 출자해 회사 설립해 [[한국공항공사]], 국내외 금융, 기술업체들이 각각 참여했다. [[저비용항공사]] 가운데 자제 정비 능력 부족으로 해외에 정비를 맡겨온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도 [[KAI]] 주도의 MRO 사업에 참여했다. 신설 MRO 사명은 '[[한국항공서비스]](KAEMS, Korea Aviation Engineering & Maintenance Service)'로 정해졌다.
 
2019년 2월 21일, 제주항공 B737 항공기 C Check 수행 예정으로 본격적인 MRO 사업을 시작했다.<ref>[항공소식] [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04592 KAEMS, 제주항공 중정비(C Check) 수주 - 국내 정비 환경 크게 개선]</ref>
 
===샤프테크닉스케이===
 
[[샤프에비에이션케이]]가 51%, [[티웨이항공]] 29%,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각각 10% 출자해 설립한 항공정비업체로 2018년 12월 7일, [[티웨이항공]] B737 항공기 C Check를 수행함으로써<ref>[항공소식] [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299304 샤프, 국내 정비업체 최초로 항공기 'C-체크' 실시]</ref> 국내에서 전문 정비업체로서는 처음으로 [[중정비]] 능력을 갖추었다.
 
2021년 5월, 이스라엘 국영기업인 [[IAI]]와 합작해 [[인천공항]]에 항공기 개조시설을 구축하기로 투자유치 합의각서를 체결했다.<ref name=":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9342 인천공항에 화물기 개조 공장 들어선다]</ref>
 
===STX에어로서비스(STX Aero Service)===
 
STX가 2018년 초 설립한 항공정비 기업이다.


* [[우리나라 MRO 산업]]
{{각주}}
{{각주}}


[[분류:약어]]
[[분류:약어]]
[[분류:정비]]
[[분류:정비]]

2023년 2월 19일 (일) 21:40 기준 최신판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정비산업)

설명[편집 | 원본 편집]

생산에 직접 소요되는 원자재를 제외한 비전략적 간접자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항공산업에서는 항공기 정비분야 사업을 총칭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대형 항공사들은 자체적으로 정비, 수리 능력을 갖추고 사업을 운영하지만 소형 항공사나 지역 항공사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정비분야를 외부에 따로 계약을 체결해 지원받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항공기 정비, 수리 서비스만 전문으로 제공하는 업체가 등장하기도 한다.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