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COVID-19 Outbreak World Map.svg|섬네일|코로나19 확산 현황]]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파일:COVID-19 Outbreak World Map.svg|300px|섬네일|코로나19 확산 현황]]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2020년 초부터 3년 가까이 전세계를 팬데믹으로 몰아 넣은 전염병이다
 
2020년 초부터 3년 가까이 전세계를 팬데믹으로 몰아 넣은 전염병으로 전 세계 정치, 경제, 사회 등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항공산업을 소멸 수준으로 몰아넣기도 했다.


== 개요 ==
== 개요 ==
21번째 줄: 19번째 줄:


==WHO 비상사태, 팬데믹 선포==
==WHO 비상사태, 팬데믹 선포==
<section begin="chapter1" />


국제보건기구(WHO)는 전세계적 위협 가능성이 있는 전염병 창궐 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를 선포할 수 있다. 2002년 사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비상사태 선포는 없었으나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해 결국 '''[[1월 30일]]부'''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국제보건기구(WHO)는 전세계적 위협 가능성이 있는 전염병 창궐 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를 선포할 수 있다. 2002년 사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비상사태 선포는 없었으나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해 결국 '''[[1월 30일]]부'''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section end="chapter1" />


하지만 WHO는 비상사태 선포에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비상사태 선포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이동 제한 등에는 반대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이 WHO에 막대한 지원이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WHO가 중국과의 물류 및 이동 제한 반대 의견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후베이성 체류 14일 이내 외국인의 자국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일본, 남미 등에서도 중국발 외국인 입국에 제한을 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WHO는 비상사태 선포에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비상사태 선포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이동 제한 등에는 반대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이 WHO에 막대한 지원이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WHO가 중국과의 물류 및 이동 제한 반대 의견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후베이성 체류 14일 이내 외국인의 자국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일본, 남미 등에서도 중국발 외국인 입국에 제한을 가하기 시작했다.


2월 중국을 넘어 한국과 일본 및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3월 초순 유럽과 미국 등 110개 국가에서 10만 명 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나타났고 WHO는 2020년 '''[[3월 11일]]''' 세계적 대유행을 의미하는 ''''팬데믹''''을 선언했다.
2월 중국을 넘어 한국과 일본 및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3월 초순 유럽과 미국 등 110개 국가에서 10만 명 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나타났고 WHO는 2020년 '''[[3월 11일]]''' 세계적 대유행을 의미하는 ''''팬데믹''''을 선언했다.




40번째 줄: 40번째 줄:
2월 중순 이후 중국에서의 확진자 증가세는 다소 주춤해졌으나 우리나라 확진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사태는 유럽, 중동으로 급속히 퍼져나갔다. 3월 8일 현재 이탈리아, 이란 등에서는 확진자가 5천 명을 넘어섰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은 전국 이동을 제한, 비상사태를 선포하기에 이르렀고 미국도 3월 13일 국가비상선언을 공표하면서 바이러스에 적극 대응하기 시작했다.
2월 중순 이후 중국에서의 확진자 증가세는 다소 주춤해졌으나 우리나라 확진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사태는 유럽, 중동으로 급속히 퍼져나갔다. 3월 8일 현재 이탈리아, 이란 등에서는 확진자가 5천 명을 넘어섰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은 전국 이동을 제한, 비상사태를 선포하기에 이르렀고 미국도 3월 13일 국가비상선언을 공표하면서 바이러스에 적극 대응하기 시작했다.


===확산 추세===
=== 확산 추세===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는 [[4월 3일]] 1백만, [[6월 28일]] 1천만, [[8월 11일]] 2천만 명, [[11월 8일]] 5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2021년 [[1월 26일]]에는 1억 명을 돌파했다. 2021년 [[8월 4일]], 누적 감염자는 2억 명을 넘어섰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는 [[4월 3일]] 1백만, [[6월 28일]] 1천만, [[8월 11일]] 2천만 명, [[11월 8일]] 5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2021년 [[1월 26일]]에는 1억 명을 돌파했다. 2021년 [[8월 4일]], 누적 감염자는 2억 명을 넘어섰다.
60번째 줄: 60번째 줄:
===국가별 감염 및 사망자 현황===
===국가별 감염 및 사망자 현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2022년 4월 11일 기준
|+ 2022년 4월 11일 기준
|-
|-
! width="10%" |국가
! width="10%" |국가
! width="10%" |감염자(명)
! width="10%" |감염자(명)
! width="10%" |사망자(명)
! width="10%" |사망자(명)
! width="9%" |치명(%)
! width="9%" |치명(%)  
!비고
!비고
|-
|-
|미국||82,062,989 ||1,012,151  
|미국||82,062,989||1,012,151
|1.2||3/13, 국가비상선언, 유럽으로부터 [[입국]] 전면 금지  
|1.2||3/13, 국가비상선언, 유럽으로부터 [[입국]] 전면 금지  
이후 감염자 급증, 7/7 감염자 3백만 명, 7/22 4백만 명
이후 감염자 급증, 7/7 감염자 3백만 명, 7/22 4백만 명
|-
|-
|인도|| 43,036,132||521,722  
|인도||43,036,132||521,722
|1.2||   
| 1.2|| 
|-
|-
|브라질||30,152,402||661,309
|브라질||30,152,402||661,309
|2.2|| 6/21, 감염자 1백만 명 돌파
|2.2|| 6/21, 감염자 1백만 명 돌파
|-
|-
|프랑스||26,947,375||143,288  
|프랑스||26,947,375||143,288
|0.5|| 3월 초부터 급증, 3/15 국가 비상사태 선포. 자택 대기, 10월 3파로 급증
|0.5||3월 초부터 급증, 3/15 국가 비상사태 선포. 자택 대기, 10월 3파로 급증
|-
|-
|독일||22,679,247||132,311
|독일||22,679,247||132,311
|0.6|| 
|0.6|| 
|-
|-
|영국||21,549,830||169,759
|영국 ||21,549,830||169,759
|0.8|| 
|0.8|| 
|-
|-
93번째 줄: 93번째 줄:
|0.1||2월 말부터 급증, 3월 중순이후 감소세로 전환. 4월부터는 하루 신규 확진자 100명 이하로 감소, 중순 이후에는 20명 내외로 안정화되었으나 5월 이후 일 50여 명 내외 신규 확진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2020년 12월 경 하루 1천 명대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는 등 증가세. 2022년 2월 하루 10만 명, 3월에는 30만 명대로 폭증
|0.1||2월 말부터 급증, 3월 중순이후 감소세로 전환. 4월부터는 하루 신규 확진자 100명 이하로 감소, 중순 이후에는 20명 내외로 안정화되었으나 5월 이후 일 50여 명 내외 신규 확진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2020년 12월 경 하루 1천 명대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는 등 증가세. 2022년 2월 하루 10만 명, 3월에는 30만 명대로 폭증
|-
|-
|이탈리아||15,292,048 ||160,748
| 이탈리아 ||15,292,048||160,748
|1.1||3월 초부터 급증. 3/9, 전국 이동제한령
|1.1||3월 초부터 급증. 3/9, 전국 이동제한령
|-
|-
|터키||14,958,974|| 98,409  
|터키||14,958,974||98,409
|0.7|| 
|0.7|| 
|-
|-
118번째 줄: 118번째 줄:
|-
|-
|일본||7,050,897||28,705
|일본||7,050,897||28,705
|0.4||다이아몬드<ref>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요코하마 정박)</ref> 739명(13명 사망) + 코스타<ref>코스타 아틀란티카 크루즈선(나가사키 정박)</ref> 149명 포함<br /> 4/7, 비상사태 선언(~5/6), 비상사태 연장 (~5/31)
| 0.4||다이아몬드<ref>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요코하마 정박)</ref> 739명(13명 사망) + 코스타<ref>코스타 아틀란티카 크루즈선(나가사키 정박)</ref> 149명 포함<br /> 4/7, 비상사태 선언(~5/6), 비상사태 연장 (~5/31)
|-
|-
|콜롬비아||6,088,034||139,719
|콜롬비아||6,088,034|| 139,719
|2.3||
|2.3||
|-
|-
150번째 줄: 150번째 줄:
|0.3|| 2021년 4월 기준 백신 접종률 60% 넘으면서 하루 신규 확진자 50명 이내 발생
|0.3|| 2021년 4월 기준 백신 접종률 60% 넘으면서 하루 신규 확진자 50명 이내 발생
|-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 3,987,385
|3,987,385
|16,226  
|16,226
|0.4
|0.4
|
|
174번째 줄: 174번째 줄:
|1.6||3/17, 국가 비상사태(~4/13) 선포
|1.6||3/17, 국가 비상사태(~4/13) 선포
|-
|-
|포르투갈||3,667,184||21,874
| 포르투갈||3,667,184||21,874
|0.6|| 
|0.6|| 
|-
|-
180번째 줄: 180번째 줄:
|1.1||3/17 이후 각 주별로 비상사태 선포
|1.1||3/17 이후 각 주별로 비상사태 선포
|-
|-
|페루||3,551,540||212,486
| 페루||3,551,540||212,486
|6.0||3/16, 국가 비상사태(15일간) 선포. 국경 폐쇄
|6.0||3/16, 국가 비상사태(15일간) 선포. 국경 폐쇄
|-
|-
255번째 줄: 255번째 줄:
|2.8||최초 발생 지역
|2.8||최초 발생 지역
|-
|-
|기타|| colspan="4" |전 세계 215개 국가/지역에서 확진자 발생, WHO 2020/3/11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기타|| colspan="4" |전 세계 215개 국가/지역에서 확진자 발생, WHO 2020/3/11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
|-
!계!!498,289,517!!6,205,350
!계!!498,289,517 !!6,205,350
!1.25!!
!1.25!!
|}
|}




==변이 바이러스 출현 ==
==변이 바이러스 출현==
코로나 바이러스는 다양한 형태의 변이종이 나타나면서 백신 접종이 어느 정도 이뤄졌다고 평가된 2021년 하반기에도 극성을 부렸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다양한 형태의 변이종이 나타나면서 백신 접종이 어느 정도 이뤄졌다고 평가된 2021년 하반기에도 극성을 부렸다.


280번째 줄: 280번째 줄:
델타 변이 바이러스보다 강하다고 알려진 것으로 2021년 11월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 처음 감염자라 나왔으며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급속히 확산되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전파력을 6으로 할 때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은 10 정도로 분석했다. 당시까지 나타난 변이종 가운데 가장 심각한 변이로 알려지며 전 세계를 다시 공포 속으로 몰아넣었다. 다만 기존 변이에 비해 위중증 전환이나 치명률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보다 강하다고 알려진 것으로 2021년 11월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 처음 감염자라 나왔으며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급속히 확산되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전파력을 6으로 할 때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은 10 정도로 분석했다. 당시까지 나타난 변이종 가운데 가장 심각한 변이로 알려지며 전 세계를 다시 공포 속으로 몰아넣었다. 다만 기존 변이에 비해 위중증 전환이나 치명률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VOI)===
===기타(VOI) ===
그 밖에 2020년 12월 영국과 나이지리아 등에서 발견된 에타, 12월 페루에서 발견된 람다, 2021년 1월 콜롬비아에서 발견된 뮤 변이 바이러스 등이 있다.
그 밖에 2020년 12월 영국과 나이지리아 등에서 발견된 에타, 12월 페루에서 발견된 람다, 2021년 1월 콜롬비아에서 발견된 뮤 변이 바이러스 등이 있다.


297번째 줄: 297번째 줄:
2021년 들어서도 확진자 규모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 특히 7월 이후 일일 확진자 규모는 더욱 커져 한 때 4천 명에 육박하기도 했다. 2021년 하반기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면서 세계는 다시 방역 강화에 들어갔다. 백신 예방 접종에도 불구하고 돌파 감염이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도 2022년 1월 하루 2만 명, 2월에는 10만 명, 3월 30-40만 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헀다.
2021년 들어서도 확진자 규모는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 특히 7월 이후 일일 확진자 규모는 더욱 커져 한 때 4천 명에 육박하기도 했다. 2021년 하반기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면서 세계는 다시 방역 강화에 들어갔다. 백신 예방 접종에도 불구하고 돌파 감염이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도 2022년 1월 하루 2만 명, 2월에는 10만 명, 3월 30-40만 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헀다.


===계절 독감으로 전환===
=== 계절 독감으로 전환===
2021년 말부터 전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됐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전파력은 기존 종보다 높지만 위중증으로의 전환률이 적고, 치명률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2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위중증·치명률이 안정적으로 관리된다면 코로나19를 계절 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의 전환을 검토한다고 밝혔다.<ref>[https://www.news1.kr/articles/?4574330 코로나 '계절독감 전환' 검토…안정되면 '일상회복' 재추진]</ref>
2021년 말부터 전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됐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전파력은 기존 종보다 높지만 위중증으로의 전환률이 적고, 치명률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2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위중증·치명률이 안정적으로 관리된다면 코로나19를 계절 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의 전환을 검토한다고 밝혔다.<ref>[https://www.news1.kr/articles/?4574330 코로나 '계절독감 전환' 검토…안정되면 '일상회복' 재추진]</ref>


2022년 [[5월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했다.
2022년 [[5월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했다.


=== 방역 규제 완화===
===방역 규제 완화===
2022년 [[3월 21일]]부터 국내 입국자 가운데 백신 접종자에 대해 자가격리 해제 조치했으며 4월 [[인천공항]]에 설치됐던 코로나19 관련 시설물들을 철거하기 시작했다. 5월부터는 지방공항도 국제선 운항을 재개하도록 하며 [[인천공항 검역 일원화]] 방침을 종료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0980 2년 만에 인천공항 코로나 시설물 걷어내 … 일 이용객 2만 명 넘어]</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1494 5월부터 지방공항도 국제선 운항 재개 … 인천공항 일원화 종료]</ref>
2022년 [[3월 21일]]부터 국내 입국자 가운데 백신 접종자에 대해 자가격리 해제 조치했으며 4월 [[인천공항]]에 설치됐던 코로나19 관련 시설물들을 철거하기 시작했다. 5월부터는 지방공항도 국제선 운항을 재개하도록 하며 [[인천공항 검역 일원화]] 방침을 종료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0980 2년 만에 인천공항 코로나 시설물 걷어내 … 일 이용객 2만 명 넘어]</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1494 5월부터 지방공항도 국제선 운항 재개 … 인천공항 일원화 종료]</ref>


309번째 줄: 309번째 줄:
2023년 1월 30일부터는 감염 취약 시설, 의료기관, 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만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되며 그 외 지역에서는 자율적으로 착용하도록 했다.  
2023년 1월 30일부터는 감염 취약 시설, 의료기관, 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만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되며 그 외 지역에서는 자율적으로 착용하도록 했다.  


==일본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 집단 발병==
==일본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 집단 발병 ==


일본에서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에서 집단 발병해 충격을 주었다. 총 3700여 탑승객 가운데 273명 감염 의심되어 진단한 결과 61명이 확진자로 판명되었으며 나머지 [[승객]]들은 크루즈선에서 하선이 금지된 채 2주간 각 선실에 격리되는 조치가 시행되었다. 2월 8일 3명이 추가로 확진자로 확인되면서 크루즈 선 감염자는 64명으로 늘었다. 2월 9일 확진자 6명 추가 되면서 크루즈 선에서만 확진자 70명으로 늘었고 2월 12일 174명까지 늘었다. 일본 정부는 배 안에 있는 3700여 명에 대해 전원 감염 여부 검사까지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서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에서 집단 발병해 충격을 주었다. 총 3700여 탑승객 가운데 273명 감염 의심되어 진단한 결과 61명이 확진자로 판명되었으며 나머지 [[승객]]들은 크루즈선에서 하선이 금지된 채 2주간 각 선실에 격리되는 조치가 시행되었다. 2월 8일 3명이 추가로 확진자로 확인되면서 크루즈 선 감염자는 64명으로 늘었다. 2월 9일 확진자 6명 추가 되면서 크루즈 선에서만 확진자 70명으로 늘었고 2월 12일 174명까지 늘었다. 일본 정부는 배 안에 있는 3700여 명에 대해 전원 감염 여부 검사까지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38번째 줄: 338번째 줄:
|+백신 접종 현황(대상 : 5,135만, 단위: 명)
|+백신 접종 현황(대상 : 5,135만, 단위: 명)
|-
|-
!일자!!1차!!접종률 !!2차!!접종률
!일자!!1차 !!접종률!!2차!!접종률
! 3차
!3차
!접종률
!접종률
!4차
!4차
351번째 줄: 351번째 줄:
|-
|-
|8월 2일
|8월 2일
|1,995만
|1,995만  
|38.6%
|38.6%
|718만
|718만
361번째 줄: 361번째 줄:
|
|
|-
|-
| 2021년 12월 말
|2021년 12월 말
|4,400만
|4,400만
|85%
|85%
370번째 줄: 370번째 줄:
|
|
|
|
| 오미크론 관련 3차 접종
|오미크론 관련 3차 접종
|-
|-
|2022년 4월 7일
|2022년 4월 7일
378번째 줄: 378번째 줄:
|86.7%
|86.7%
|3286만
|3286만
|64%  
|64%
|
|
|
|
389번째 줄: 389번째 줄:
|86.8%
|86.8%
|3318만
|3318만
|64.6%  
|64.6%
|288만
|288만
|5.6%
|5.6%
411번째 줄: 411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Iframe]]
[[분류:여행]]
[[분류:항공시장]]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