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X-3

항공위키
Saym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4월 13일 (화) 12:56 판
제해호

SX-3 제해호

해취호, 서해호를 제작했던 조경연 당시 소령이 개발해 1957년 3월 시험 비행에 성공한 비행기로 조경연 예비역 중령이 개발한 항공기 가운데 유일하게 도면이 확인되는 항공기다.

해군은 비공식적이던 해군의 항고기 제작, 보유를 공식화하기 위해 1956년 1월 해군공창 항공반을 해군과학연구소 제1연구부 항공과로 격상시키고 조경연 대위를 소령으로 진급, 항공과장에 임명했다.

춘천 육군항공대에서 발견한 L-19 엔진 4개를 획득한 그는 이 엔진으로 제해호(SX-3), 통해호(SX-5)를 제작했다. 각고의 노력 끝에 1957년 3월 30일, 제해호가 완성됐다. 시험비행도 무사히 마쳤다.

제해호는 당시까지 만든 비행기 가운데 가장 큰 기체로 최대 6명까지 탑승 가능한 중형급이었다. 무기도 탑재해 공격할 수 있었던 제해호는 엔진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품, 기체를 해군이 직접 만들어냈다. 제해호 명칭은 이승만 대통령이 부여했다.

시험비행에 성공한 후 1957년 7월 15일, 첫 항공부대인 함대항공대가 창설됐다. 이 해군함대항공대에 소속된 제해호는 남해안 일대 해상 감시, 함정 엄호, 대공 훈련 지원, 함포 탄착 수정, 긴급 수송 등 본격적인 함대 작전에 참여했다. 함대항공대는 57년 말까지 10명의 조종사와 22명 정비사를 확보하고 1958년 해군과학연구소가 제작한 통해호(SX-5), 육상 비행기 등 4대의 항공기를 추가로 배치 운용하게 됐다.

제해호 기체를 추가 제작하려 했지만 미군의 입장 때문에 무위로 돌아갔다. 한국전쟁 후 미국의 지원으로 연명하다시피 했던 한국이 자체 제작한 항공기 체계에 대해서는 병참 지원이 어렵다는 미군의 입장으로 인해 항공기 추가 제작을 포기했고 제해호 역시 해경으로 이관되면서 해군함대항공대도 1963년 3월 1일 해체됐다.

해경으로 이관된 제해호는 1964년 2월 27일, 임무 중 실종되었다. 해무 때문에 방향을 잃고 연료가 고갈돼 조난을 당했다. 72시간 동안 표류했다가 일본 어선에 의해 발견됐다. 승무원은 모두 무사했지만 이 비행기는 장시간 표류로 부식되면서 파손돼 버렸다.

제원

  • 길이 : 11.6미터
  • 윙스팬 : 13.8미터
  • 무게 : 1300킬로그램
  • 순항속도 : 시속 115마일
  • 최고속도 : 시속 135마일
  • 범위 : 600노티컬마일(nm)

대한민국 비행기 개발 역사

개요

일제 강점기가 끝나 독립된 이후 국내에서 개발, 제작된 비행기에 대한 기록이다.

현황

비행기 개발 내용
해취호 1951년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해군 조경연 중위가 육상 비행기를 개조해 만든 수상 비행기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독자 제작된 비행기'라고 할 수 있다.


부활호 1953년

1953년 6월 공군기술학교 주도로 개발 시작해 그해 완성해 10월 11일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공군 이원복 소령 주도로 개발된 대한민국 최초로 국내 설계되고[1], 사상 두번째로[2] 제작된 비행기(단발 프로펠러기)다. '부활'이라는 이름은 이승만 대통령이 하사한 것으로 연락, 정찰, 심리전 등의 목적이었다.


서해호 1953년

대한민국 최초로 엔진을 동체 위에 얹은 항공기로 해취호 개발자 조경연 당시 대위가 해취호 후계기로 개발한 수상 비행기이다. 엔진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것을 독자 개발한 비행기로 우리나라 항공기 개발 역사의 시발점이 된 항공기라고 할 수 있다.


SX-2 1955년

해취호서해호를 제작했던 조경연 당시 소령과 정학윤 당시 중위가 일본 항공기 잡지에 나온 사진만 보고 설계, 제작한 육상 비행기다.


SX-3 1957년
제해호

SX-3 제해호

해취호, 서해호를 제작했던 조경연 당시 소령이 개발해 1957년 3월 시험 비행에 성공한 비행기로 조경연 예비역 중령이 개발한 항공기 가운데 유일하게 도면이 확인되는 항공기다.

해군은 비공식적이던 해군의 항고기 제작, 보유를 공식화하기 위해 1956년 1월 해군공창 항공반을 해군과학연구소 제1연구부 항공과로 격상시키고 조경연 대위를 소령으로 진급, 항공과장에 임명했다.

춘천 육군항공대에서 발견한 L-19 엔진 4개를 획득한 그는 이 엔진으로 제해호(SX-3), 통해호(SX-5)를 제작했다. 각고의 노력 끝에 1957년 3월 30일, 제해호가 완성됐다. 시험비행도 무사히 마쳤다.

제해호는 당시까지 만든 비행기 가운데 가장 큰 기체로 최대 6명까지 탑승 가능한 중형급이었다. 무기도 탑재해 공격할 수 있었던 제해호는 엔진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품, 기체를 해군이 직접 만들어냈다. 제해호 명칭은 이승만 대통령이 부여했다.

시험비행에 성공한 후 1957년 7월 15일, 첫 항공부대인 함대항공대가 창설됐다. 이 해군함대항공대에 소속된 제해호는 남해안 일대 해상 감시, 함정 엄호, 대공 훈련 지원, 함포 탄착 수정, 긴급 수송 등 본격적인 함대 작전에 참여했다. 함대항공대는 57년 말까지 10명의 조종사와 22명 정비사를 확보하고 1958년 해군과학연구소가 제작한 통해호(SX-5), 육상 비행기 등 4대의 항공기를 추가로 배치 운용하게 됐다.

제해호 기체를 추가 제작하려 했지만 미군의 입장 때문에 무위로 돌아갔다. 한국전쟁 후 미국의 지원으로 연명하다시피 했던 한국이 자체 제작한 항공기 체계에 대해서는 병참 지원이 어렵다는 미군의 입장으로 인해 항공기 추가 제작을 포기했고 제해호 역시 해경으로 이관되면서 해군함대항공대도 1963년 3월 1일 해체됐다.

해경으로 이관된 제해호는 1964년 2월 27일, 임무 중 실종되었다. 해무 때문에 방향을 잃고 연료가 고갈돼 조난을 당했다. 72시간 동안 표류했다가 일본 어선에 의해 발견됐다. 승무원은 모두 무사했지만 이 비행기는 장시간 표류로 부식되면서 파손돼 버렸다.

제원

  • 길이 : 11.6미터
  • 윙스팬 : 13.8미터
  • 무게 : 1300킬로그램
  • 순항속도 : 시속 115마일
  • 최고속도 : 시속 135마일
  • 범위 : 600노티컬마일(nm)

재귀적인 틀이 발견되었습니다: 대한민국 개발 비행기

[[]] , [[]] 참고
제공호 1979년

미국 노드롭의 F-5E/F 전투기를 도입하는 동시에 이를 기본으로 개량해 라이센스 조립 생산한 것이 KF-5E/F 전투기다.


창공3호 1987년

대한항공이 개발한 쌍발 프로펠러 비행기로 조종훈련, 레저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비행기로 창공91 개발로 이어졌다.


창공91 1991년

대한항공이 이전 개발하던 창공1호, 2호, 그리고 창공3호의 후속으로 개발된 비행기로 연구 개발에 총 36억 원 투입해 창공91를 개발했다. 교통부 감항증명을 받은 최초의 국산 항공기다. 총 3대 제작되었다.


KT-1 1991년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이 설계한 비행기로 전투기 조종사 훈련생들이 기초 조종술을 익히기 위해 활용하는 훈련기로 사용된다. 양산에 성공하면서 상업적으로도 가능성을 보여준 비행기다. 웅비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까치호 1992년

2인승 초경량 항공기로 부활호, 창공3호에 이어 국내 독자적으로 개발한 3번째 항공기다. 상공부(현재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항우연이 사업 총괄 및 개발을 담당했다.


반디호 2001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내 기술로 설계, 개발한 대한민국 최초의 4인승 선미익 항공기다. 해외 에어쇼에 출품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세계 최초로 남북극을 경유하는 비행을 실시하기도 했다.


T-50 2002년

국내 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초음속 비행기로 고등훈련기로 개발되었지만 무장 시 경공격기로도 활용 가능한 비행기다. 골든이글(Golden Eagle)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이 초음속 훈련기는 KT-1에 이은 한국형 훈련기 사업으로 개발됐으며 록히드마틴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공동 개발로 이뤄진 기체이다. 본격적인 해외 수출 물꼬를 튼 기종이다.


TA-50 2005년 T-50 기반의 전술입문기(전환훈련기)
FA-50 2011년

T-50을 바탕으로 확장 전술능력(고성능 레이더, 야간 임무 수행, 전술 데이터 능력, 정밀 유도 폭탄 투하 등)을 구비해 전투 능력을 갖춘 경전투기로 2011년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생산되는 T-50 계열 항공기 절반 이상을 FA-50이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KC-100 2011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개발한 것으로 FAA 감항증명을 획득했으며, 공군 초등 훈련기(KT-100)로도 사용 중으로 20대 이상 생산되었다.


KLA-100 2017년

건국대학교에서 개발해 2017년 7월 20일 초도비행에 성공, 베셀에어로스페이스에서 생산하는 항공 레저 및 조종사 훈련을 위한 2인승 항공기다. 2017년 7월 20일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KF-21 2022년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본격적인 최초의 제트 전투기로 4.5세대를 기본으로 한다. 2022년 7월 19일 초도비행에 성공했으며, 2026년 전력화가 이뤄질 경우 4세대 이상 초음속 전투기를 개발·전력화한 8번째 국가가 된다. 향후 스텔스 기능 확장 가능한 기종이다.


이미지

각주


  1. 국군이 직접 설계제작했다.
  2. 제작과 비행 자체는 사실 2년 먼저 해군의 해취호가 이미 했던 것이다.
[[]] , [[]]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