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ESTA: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 (ESTA 승인 불가 시)
잔글 (분류 추가)
1번째 줄: 1번째 줄:
==ESTA(Electronic System for Travel Authorization)==
==ESTA(Electronic System for Travel Authorization)==
미국이 발급하는 종이 혹은 스탬프 형태의 비자가 아닌 여행허가서라는 의미의 전자여행허가를 비자대신 발급받도록 하고 있다. 미국을 여행하려는 여행자가 미국과 [[VWP]](Visa Waiver Program, 비자면제프로그램)에 가입되어 있는 국가 국민인 경우에는 비자(Visa) 대신 이 ESTA 를 사전에 신청해 발급받아야 한다.
[[file:esta_1.jpg|thumb|400px|미국 전자여행허가제, ESTA]]
미국이 발급하는 종이 혹은 스탬프 형태의 [[비자]]가 아닌 여행허가서라는 의미의 전자여행허가를 비자대신 발급받도록 하고 있다. 미국을 여행하려는 여행자가 미국과 [[VWP]](Visa Waiver Program, 비자면제프로그램)에 가입되어 있는 국가 국민인 경우에는 비자(Visa) 대신 이 ESTA 를 사전에 신청해 발급받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2008년 11월 17일부로 비자면제협정(VWP)을 체결했다. 그리고 미국은 2009년 1월 12일부터 비자면제협정을 맺은 국가 국민들이 미국을 입국할 때 ESTA 를 통해 전자승인을 받도록 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2008년 11월 17일부로 [[비자면제협정]](VWP)을 체결했다. 그리고 미국은 2009년 1월 12일부터 비자면제협정을 맺은 국가 국민들이 미국을 입국할 때 ESTA 를 통해 전자승인을 받도록 한 것이다.




21번째 줄: 22번째 줄:
ESTA 는 한번 승인을 받으면 2년간 그 기능이 유효하다. 즉 2년 안에는 미국을 재입국할 때 별도의 승인을 추가로 받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발급 사이트를 통해 승인 받는 것이 그다지 번거롭지 않으므로 가능하면 여행 시에 확인하는 의미로 다시 승인을 받는 것이 좋다.
ESTA 는 한번 승인을 받으면 2년간 그 기능이 유효하다. 즉 2년 안에는 미국을 재입국할 때 별도의 승인을 추가로 받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발급 사이트를 통해 승인 받는 것이 그다지 번거롭지 않으므로 가능하면 여행 시에 확인하는 의미로 다시 승인을 받는 것이 좋다.


ESTA 는 비자(Visa)의 역할을 대신한다고 할 수 있다. ESTA 를 통해 승인을 받았다고 해서 미국 입국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국 도착 입국심사 시에 입국이 거절될 수도 있다. 이는 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ESTA 는 [[비자]](Visa)의 역할을 대신한다고 할 수 있다. ESTA 를 통해 승인을 받았다고 해서 미국 입국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국 도착 입국심사 시에 입국이 거절될 수도 있다. 이는 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30번째 줄: 31번째 줄:


==참고==
==참고==
[[분류:여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