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객실여압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기압이 낮아질 수록 인체 피로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지상 기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항공기 구조를 매우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비용, 효율성 등 문제 때문에 이를 맞추기는 어렵다.
기압이 낮아질 수록 인체 피로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지상 기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항공기 구조를 매우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비용, 효율성 등 문제 때문에 이를 맞추기는 어렵다.


그러나 최근 개발되는 신형 항공기는 이를 조금이라도 더 개선하기도 하는데, B787이나 A350 항공기의 경우에는 객실 기압이 약 6,000피트(1,830미터) 수준으로 비행 피로도가 기존 대비 감소한다.
그러나 최근 개발되는 신형 항공기는 이를 조금이라도 더 개선하기도 하는데, 최신 민간 상용 기종인 B787이나 A350 항공기의 경우에는 객실 기압이 약 6,000피트(1,830미터) 수준으로 보다 지표면의 기압에 가깝기 때문에 비행 피로도가 기존 대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관련 용어==
==관련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