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A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IOSA(IATA Operational Safety Audit)
==IOSA(IATA Operational Safety Audit)==


== 설명 ==
[[IATA]]가 항공사에 대해 실시하는, 국제적 안전품질평가 프로그램으로 안전평가를 무사히 통과하면 2년의 기간 동안 [[IOSA]] 항공사로 등록되며, 이는 국제적으로 안전운항체제를 공인 받는 것이다. [[IATA]]는 [[항공사]]의 안전에 관한 국제적 표준을 확립하고자 2003년 7월부터 국제표준의 검사기준과 규정으로 [[IOSA]]를 운영해 왔고 2006년 정기총회에서 회원사는 2008년 말까지 반드시 [[IOSA]] 인증을 받도록 결의해 회원가입 및 자격유지 조건이 되었다.
[[IATA]]가 항공사에 대해 실시하는, 국제적 안전품질평가 프로그램으로 안전평가를 무사히 통과하면 2년의 기간 동안 [[IOSA]] 항공사로 등록되며, 이는 국제적으로 안전운항체제를 공인 받는 것이다. [[IATA]]는 [[항공사]]의 안전에 관한 국제적 표준을 확립하고자 2003년 7월부터 국제표준의 검사기준과 규정으로 [[IOSA]]를 운영해 왔고 2006년 정기총회에서 회원사는 2008년 말까지 반드시 [[IOSA]] 인증을 받도록 결의해 회원가입 및 자격유지 조건이 되었다.


10번째 줄: 9번째 줄:
==IOSA 인증평가 검사기준==
==IOSA 인증평가 검사기준==


[[IOSA]] 인증을 위해서 항공사들은 [[IATA]]로부터 인가 받은 전문평가기관에 의해 일주일 동안 8개 점검 분야(조직 관리, 운항, 정비, 객실, 운송 및 지상 조업, 화물, 보안), 현재 총 914개 항목에 대해 총체적인 안전 평가를 받아야 한다. 검사 기준은 [[FAA]], JAA 등 다양한 기관과 함께 협력 개발하고, 표준화된 체크 리스트를 포함한 체계적인 평가 방법으로 각 항공사의 안전성을 검사하게 된다. 총 914개의 검사 항목은 834개의 [[IOSA]] 기준 항목에 80개의 권고 사항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에 834개의 기준 전 항목을 충족해야만 IOSA 항공사로 등록될 수 있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항목에 대해서는 개선 조치를 취해야 하며 개선 조치를 완료하고 이를 재확인 받은 후 IOSA 인증을 새로 받거나 갱신할 수 있다.  
[[IOSA]] 인증을 위해서 항공사들은 [[IATA]]로부터 인가 받은 전문평가기관에 의해 일주일 동안 8개 점검 분야(조직 관리, 운항, 정비, 객실, 운송 및 지상 조업, 화물, 보안), 현재 총 914개 항목에 대해 총체적인 안전 평가를 받아야 한다. 검사 기준은 [[FAA]], JAA 등 다양한 기관과 함께 협력 개발하고, 표준화된 체크 리스트를 포함한 체계적인 평가 방법으로 각 항공사의 안전성을 검사하게 된다. 총 914개의 검사 항목은 834개의 [[IOSA]] 기준 항목에 80개의 권고 사항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에 834개의 기준 전 항목을 충족해야만 IOSA 항공사로 등록될 수 있다.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항목에 대해서는 개선 조치를 취해야 하며 개선 조치를 완료하고 이를 재확인 받은 후 IOSA 인증을 새로 받거나 갱신할 수 있다.  


=== IOSA Standards Manual ===
==IOSA 등록 항공사 현황==
[[ICAO]], [[A4A]], [[JAR]]-OPS/[[FAR]]<nowiki/>s의 요건 및 다수의 품질 심사 중에 발견된 Operation 상의 Requirements를 IATA에서 표준화한 매뉴얼이다.


* Section 1 -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ystem (ORG)
현재 약 390개의 [[항공사]]가 [[IOSA]] 인증을 받았다.
* Section 2 - Flight Operations (FLT)
* Section 3 - Operational Control and Flight Dispatch (DSP)
* Section 4 - Aircraft Engineering and Maintenance (MNT)
* Section 5 - Cabin Operations (CAB)
* Section 6 - Ground HandlingOperations (GRH)
* Section 7 - Cargo Operations (CGO)
* Section 8 - Security Management (SEC)


==IOSA 인증 항공사 안전 평가==
2023년 기준 417개의 [[항공사]]가 [[IOSA]] 인증을 받았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1백만 운항편 당 사고 건수<ref>[https://www.airlineratings.com/news/passenger-news/which-airlines-have-the-lowest-accident-rates/ WHICH AIRLINES HAVE THE LOWEST ACCIDENT RATES?(2023.9.28)]</ref>
!
!IOSA 항공사
!비 IOSA 항공사
|-
|2005년 ~ 2022년
|1.40
|3.49
|-
|2022년
|0.70
|2.82
|}
==항공안전평가 프로그램==
*[[IOSA]]
*[[USOAP]]
*[[IASA]]
*[[SAFA]]
==참고==
*[[ISSA]]
*[[Risk Based IOSA]]<ref>[https://www.iata.org/en/programs/safety/audit/iosa/risk-based-iosa/ Risk-based IOSA]</ref>
{{각주}}
{{각주}}
[[분류:항공안전]]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