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ential Air Service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현황 ==
== 현황 ==
2007년 기준 102개 도시 대상으로 연간 1억 달러 이상 보조금이 지급되었다. 그 규모는 해가 갈 수록 늘어나고 있어 2017년 175개 항공사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운행 항공사에 약 3천억 원(2억 6300만 달러), 2021년 3월 기준 연간 3억 3919만 달러에 달했다.  
2007년 기준 102개 도시 대상으로 연간 1억 달러 이상 보조금이 지급되었다. 그 규모는 해가 갈 수록 늘어나고 있어 2017년 175개 도시를 운행하는 항공사에 약 3천억 원(2억 6300만 달러), 2021년 3월 기준 연간 3억 3919만 달러에 달했다.  


2018년 기준 현재 미국의 소규모 항공사([[지역 항공사]] 또는 [[커뮤터]])는 전체 운항 편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항공사는 주요 대형 항공사의 브랜드(아메리칸 이글, 델타 커넥션 및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등)를 사용하면서 주요 허브 공항에 대한 [[Feeder Airline|feeder]] 노선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2018년 기준 현재 미국의 소규모 항공사([[지역 항공사]] 또는 [[커뮤터]])는 전체 운항 편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항공사는 주요 대형 항공사의 브랜드(아메리칸 이글, 델타 커넥션 및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등)를 사용하면서 주요 허브 공항에 대한 [[Feeder Airline|feeder]] 노선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 [[손실보전금]]: 특정 사업을 진행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손실 일부를 보전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가 항공노선 유지 또는 유치를 위해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42834 지난 5년 지방공항 항공사 손실보전금 247억 원 ·· 이전보다 4배 늘어(2019.10.3))]</ref>
* [[손실보전금]]: 특정 사업을 진행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손실 일부를 보전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가 항공노선 유지 또는 유치를 위해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42834 지난 5년 지방공항 항공사 손실보전금 247억 원 ·· 이전보다 4배 늘어(2019.10.3))]</ref>
{{각주}}
{{각주}}
[[분류:항공정책]]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