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승권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file:boarding_pass_1.jpg|thumb|전통적인 종이 탑승권]][[탑승권]](搭乘券, Boarding Pass),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권리를 증명하는 서류/양식이다.
==탑승권(搭乘券, Boarding Pass)==
[[file:boarding_pass_1.jpg|thumb|400px|전통적인 종이 탑승권]]
 
탑승권은 말 그대로 교통수단 등 탈 것에 탑승할 수 있도록 발급하는 증명서류를 말한다. 여타 부문과 마찬가지로 항공부문에서도 탑승권은 탑승수속 단계에서 배정받은 좌석번호와 탑승객의 이름이 명기된 유무형의 서류다.


== 설명 ==
탑승권은 말 그대로 교통수단 등 탈 것에 탑승할 수 있도록 발급하는 증명서류를 말한다. 여타 부문과 마찬가지로 항공부문에서도 탑승권은 [[탑승수속]] 단계에서 배정받은 좌석번호와 탑승객의 이름이 명기된 유무형의 서류다.


==탑승권에 포함되는 정보==
==탑승권에 포함되는 정보==
* 승객 이름 ☞ 필수사항
* 승객 이름 ☞ 필수사항
* 항공 편명/일자 ☞ 필수사항
* 항공 편명/일자 ☞ 필수사항
* 항공 운항 구간(출도착지) 및 출발시각 <ref>출발시각에 맞추어 탑승구에 가면 된다는 승객들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출발시각을 표기하지 않는 항공사도 있다.<br />* [http://www.airtravelinfo.kr/xe/52767 비행기 놓치는 사연들 - 예방책은?]<br/>* [http://www.airtravelinfo.kr/xe/281947 비행기는 문 닫는다고 바로 출발할 수 있는게 아녀~~]</ref> ☞ 필수사항
* 항공 운항 구간(출도착지) 및 출발시각 <ref>출발시각에 맞추어 탑승구에 가면 된다는 승객들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출발시각을 표기하지 않는 항공사도 있다.<br />* [http://www.airtravelinfo.kr/xe/52767 비행기 놓치는 사연들 - 예방책은?]<br/>* [http://www.airtravelinfo.kr/xe/281947 비행기는 문 닫는다고 바로 출발할 수 있는게 아녀~~]</ref> ☞ 필수사항
* [[탑승구]]/탑승마감시각 ☞ 필수사항
* 탑승구/탑승마감시각 ☞ 필수사항
* 예약 번호 및 항공권 번호
* 예약 번호 및 항공권 번호
* 회원 정보 / [[마일리지]]
* 회원 정보 / 마일리지
 


==탑승권 형태==
==탑승권 형태==
가장 기본적 형태는 종이(Paper)다. 탑승수속 시 배정된 좌석번호와 승객이름, 회원번호 등의 내용이 포함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항공사 회수용과 승객 소지용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에 등장한 것이 롤페이퍼 영수증처럼 감광기능을 이용한 종이 탑승권으로 우리나라는 주로 국내선 항공편에서 이용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 형태는 종이(Paper)다. [[탑승수속]] 시 배정된 좌석번호와 승객이름, 회원번호 등의 내용이 포함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항공사 회수용과 승객 소지용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에 등장한 것이 롤페이퍼 영수증처럼 감광기능을 이용한 종이 탑승권으로 우리나라는 주로 [[국내선]] 항공편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으로 탑승수속을 하므로 종이형태가 아닌 디지털 형태의 탑승권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적지 않은 이용도를 보여준다. 일본, 싱가포르, 홍콩, 한국 등 아시아권 항공사들도 디지털 형태의 탑승권 사용 사례가 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으로 탑승수속을 하므로 종이형태가 아닌 디지털 형태의 모바일 탑승권([[MBP]])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적지 않은 이용도를 보여준다. 일본, 싱가포르, 홍콩, 한국 등 아시아권 [[항공사]]들도 디지털 형태의 모바일 탑승권 사용 사례가 늘고 있다.
<gallery widths=220px heights=300px>
 
file:boarding_pass_2.jpg|스마트폰 탑승권
<gallery widths="220px" heights="300px">
file:boarding_pass_2.jpg|스마트폰 모바일 탑승권
file:boarding_pass_3.jpg|온라인 탑승수속에서 출력하는 탑승권
file:boarding_pass_3.jpg|온라인 탑승수속에서 출력하는 탑승권
file:boarding_pass_4.jpg|감광 기능을 이용한 국내선 탑승권
</gallery>
</gallery>


==개인정보 유출 논란==


최근 SNS 유행에 따라 실제 사용했던 탑승권을 인터넷 상에 공개하기도 하는데, 개인정보 유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ref>[http://www.airtravelinfo.kr/xe/1132702 항공 탑승권 SNS 공개는 내 개인정보 가져가라는 뜻]</ref> 간단히 스마트폰용 바코드 리더앱으로 바코드를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기타==
최근 SNS 유행에 따라 실제 사용했던 탑승권을 인터넷 상에 공개하기도 하는데, 개인정보 유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ref>[http://www.airtravelinfo.kr/xe/1132702 항공 탑승권 SNS 공개는 내 개인정보 가져가라는 뜻]</ref>


http://www.airtravelinfo.kr/xe/files/attach/images/6044/702/132/001/113123e1352fbb0ceaf607d3dcfc09f9.jpg<br />
탑승권 바코드에서 읽어낸 정보들


==참고==
==참고==
* [[탑승권 발급 유료화]]
{{각주}}
[[분류:공항]]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