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콩코드 오류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 배경 ==
== 배경 ==
[[콩코드]]는 1962년 영국과 프랑스가 공동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한 [[SST|초음속 여객기]]로 1976년 상업비행을 시작했다. 이들은 7년간 5조 원 이상의 막대한 개발비를 들인 끝에 1969년 [[3월 2일]] 초도비행, 1976년 [[1월 21일]] 상업비행에 성공하면서 세계 최초의 상용 초음속 여객기라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콩코드]]는 1962년 영국과 프랑스가 공동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한 [[SST|초음속 여객기]]로 1976년 상업비행을 시작했다. 이들은 7년간 5조 원 이상의 막대한 개발비를 들인 끝에 1969년 3월 2일 초도비행, 1976년 1월 21일 상업비행에 성공하면서 세계 최초의 상용 초음속 여객기라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많은 연료 소모와 엄청난 소음, 100석에 불과한 좌석으로 인한 고가의 요금 등으로 개발 당시부터 사업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장기간 투자한 비용과 시간이 아까워 개발을 계속 진행했고 총 190억 달러가 넘는 자금이 투입됐다.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속도 경쟁보다는 경제성이 우선되는 시대가 됐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콩코드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했고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렸다.
하지만 많은 연료 소모와 엄청난 소음, 100석에 불과한 좌석으로 고가의 요금 등으로 개발 당시부터 사업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장기간 투자한 비용과 시간이 아까워 개발을 계속 진행했고 총 190억 달러가 넘는 자금이 투입됐다.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속도 경쟁보다는 경제성이 우선되는 시대가 됐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콩코드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했고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렸다.


2000년 7월 25일 발생한 [[이륙]] 중 추락사고가 콩코드를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그동안 비용과 소음 등 막대한 문제를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단하지 못했던 것이 [[항공사고]]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고서야 퇴출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2000년 7월 25일 발생한 [[이륙]] 중 추락사고가 콩코드를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그동안 비용과 소음 등 막대한 문제를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단하지 못했던 것이 [[항공사고]]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고서야 퇴출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 [[Tu-144]]: 사상 최초의 초음속 여객기
* [[Tu-144]]: 사상 최초의 초음속 여객기
{{각주}}
{{각주}}
[[분류:항공시장]]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