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이스타항공 매각과 회생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스타항공]] 매각: 경영난으로 매각된 이스타항공. 2020년부터 [[제주항공]], [[성정]] 등과 매각, 정상화를 추진했지만 결국 [[VIG파트너스]]가 인수하면서 2023년 3월 정상화(운항재개)됐다.
이스타항공 매각
 
경영난으로 매각된 이스타항공. 2020년부터 [[제주항공]], [[성정]] 등과 매각, 정상화를 추진했지만 결국 [[VIG파트너스]]가 인수하면서 2023년 3월 정상화(운항재개)됐다.


== 개요 ==
== 개요 ==
6번째 줄: 8번째 줄:
국적 [[저비용항공사]] [[이스타항공]]이 경영 위기를 겪으며 매각 시장에 나왔다. [[제주항공]]이 인수 의사를 밝히고 2019년 말부터 실사 작업을 진행해 두 차례 기한 연장 끝에 2020년 3월 2일 최종 매각에 합의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고 인수를 둘러싼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결국 2020년 [[7월 23일]] 매각은 무산됐다.
국적 [[저비용항공사]] [[이스타항공]]이 경영 위기를 겪으며 매각 시장에 나왔다. [[제주항공]]이 인수 의사를 밝히고 2019년 말부터 실사 작업을 진행해 두 차례 기한 연장 끝에 2020년 3월 2일 최종 매각에 합의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고 인수를 둘러싼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결국 2020년 [[7월 23일]] 매각은 무산됐다.


이후 이스타항공은 재매각 작업을 진행해 [[성정]]이 최종 인수자로 선정됐고 2021년 6월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허위 회계자료 논란 등을 겪으며 운항재개가 지연되었다. 2023년 1월 성정이 지분 100%를 넘겨받은 [[VIG파트너스]]로 경영권이 넘어갔고 [[운항증명]]을 재취득해 2023년 3월 김포-제주 노선을 시작으로 재운항에 들어가면서 3년 만에 정상화되었다.
이후 이스타항공은 재매각 작업을 진행해 [[성정]]이 최종 인수자로 선정됐고 2021년 6월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허위 회계자료 논란 등을 겪으며 운항재개가 지연되었다. 2023년 1월 성정이 지분 100%를 넘겨받은 [[VIG파트너스]]로 경영권이 넘어갔고 [[운항증명]]을 재취득해 2023년 3월 김포-제주 노선을 시작으로 재운항에 들어갔다. 운항을 중단한 지 3년 만에 정상화되었다.


</onlyinclude>
</onlyinclude>


==매각 과정 타임라인==
==매각 과정 타임라인==
<itimeline height="500px" min="2019-10-01" max="2023-12-31">
<itimeline height="450px" min="2019-10-01" max="2023-12-31">
2019-12-19|[[제주항공]]-[[이스타항공]] 공동경영 양해각서 체결
2019-12-19|[[제주항공]]-[[이스타항공]] 공동경영 양해각서 체결
2020-03-02|제주항공, 545억 인수 확정 발표
2020-03-02|제주항공, 545억 인수 확정 발표
41번째 줄: 43번째 줄:
2023-03-26|김포-제주 운항 개시
2023-03-26|김포-제주 운항 개시
</itimeline>
</itimeline>
[[분류:온글]]
[[분류:이스타항공]]
[[분류:참고]]
[[분류:항공시장]]


==이스타항공 재무 위기==
==이스타항공 재무 위기==
128번째 줄: 125번째 줄:


2020년 10월, 이스타항공은 총 605명 정리해고를 단행하면서 잔여 인력은 590명 수준으로 축소되었다.
2020년 10월, 이스타항공은 총 605명 정리해고를 단행하면서 잔여 인력은 590명 수준으로 축소되었다.
정리해고된 근로자 44명이 서울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 구제를 신청했고 지노위는 이스타항공이 고용유지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볼 수 없다며 41명의 해고가 부당하다고 판정했다. 하지만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 재심에선 지노위 판정이 뒤집혔고 직원들은 이에 불복하여 행정소송을 냈다. 2024년 5월 2일,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는 이스타항공 전(前) 직원 29명이 중노위 위원장을 상대로 "부당해고 구제 재심판정을 취소하라"며 제기한 소송을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정리해고를 할 수밖에 없었던 긴박한 경영상 필요가 있었음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28031 법원, 이스타항공 605명 해고는 "경영상 불가피" 판단(2024.5.2)]</ref>


====임금 체불 및 재무상태 악화====
====임금 체불 및 재무상태 악화====
257번째 줄: 252번째 줄:
[[2월 28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운항증명을 다시 획득'''해 완전한 재운항 조건을 갖추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8209 이스타항공, AOC 통과 3월 말 재운항(2023.2.28)]</ref>
[[2월 28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운항증명을 다시 획득'''해 완전한 재운항 조건을 갖추게 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8209 이스타항공, AOC 통과 3월 말 재운항(2023.2.28)]</ref>


[[3월 26일]], 국내선(김포-제주 노선) 운항 재개<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8542 이스타항공, 13일 예약 오픈 - 26일 운항 개시(2023.3.8)]</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30419 3년 만에 날았다 … 이스타항공 첫날 20편 만석(2023.3.26)]</ref>
[[3월 26일]], 김포-제주 노선 운항 재개<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8542 이스타항공, 13일 예약 오픈 - 26일 운항 개시(2023.3.8)]</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30419 3년 만에 날았다 … 이스타항공 첫날 20편 만석(2023.3.26)]</ref>
 
[[9월 2일]], 국제선 운항 재개(김포-송산 노선)<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40730 이스타항공 3년 6개월 만 국제선 복항 … 대만 송산(2023.9.2)]</ref>


==기타==
==기타==
267번째 줄: 260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항공시장]]
[[분류:이스타항공]]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