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스트래토런치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스트래토런치(Stratolaunch) : 우주 로켓 발사용 비행체
==스트래토런치(Stratolaunch)==


== 개요 ==
[[file:stratolaunch.jpg|thumb|300px|스트래토런치]]
[[file:stratolaunch.jpg|thumb|300px|스트래토런치]]
[[file:stratolaunch_size.jpg|thumb|300px|스트래토런치 크기 비교]]
[[file:stratolaunch_size.jpg|thumb|300px|스트래토런치 크기 비교]]


항공역사상 가장 큰 [[비행기]](윙스팬 기준)라는 타이틀을 가진 비행체로 우주 로켓, [[비행선]]을 일정 고도까지 운반하는 비행기다.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였던 폴 앨런이 개발을 주도했다.  
우주 로켓, [[비행선]]을 일정 고도까지 운반하는 비행기로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였던 폴 앨런이 개발 중이다. 2011년 벌칸 에어로스페이스를 설립해 항공기 개발에 들어갔으며 이후 회사명은 스트래토런치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윙스팬이 117미터에 달하는 스트래토런치는 2019년 4월 13일 비행에 성공하면서 [[윙스팬]] 기준  '''항공역사상 가장 큰 [[비행기]]'''라는 타이틀을 차지하게 되었다.


==개발==
2019년 초도 비행과 함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스트래토런치가 운반할 로켓·비행선 등을 개발하고 있으나 불확실한 사업성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이어질 지 확실하지 않은 상태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26143 스트래토런치, 사상 최대 비행기 단 한번 비행하고 중단?]</ref> 사업을 중단하는 경우 휴즈 H-4 허큘리스(일명 [[Spruce Goose]]) 항공기가 단 한 번의 시험비행만 실시하고 그만 둔 것과 같은 비운의 사례가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폴 앨런은 2011년 벌칸 에어로스페이스를 설립해 항공기 개발에 들어갔으며 이후 회사명은 스트래토런치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윙스팬]]이 117미터에 달하는 스트래토런치는 2019년 4월 13일 비행에 성공하면서 [[윙스팬]] 기준  '''항공역사상 가장 큰 [[비행기]]'''라는 타이틀을 차지하게 되었다.
최초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개발을 주도했던 폴 앨런은 그 완성(초도 비행)을 보지 못하고 2018년 10월 15일 세상을 떠났다.
 
2019년 초도 비행과 함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스트래토런치가 운반할 로켓·비행선 등을 개발하고 있으나 불확실한 사업성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이어질 지 확실하지 않은 상태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26143 스트래토런치, 사상 최대 비행기 단 한번 비행하고 중단?]</ref> 사업을 중단하는 경우 휴즈 H-4 허큘리스(일명 [[Spruce Goose]]) 항공기가 단 한 번의 시험 비행만 실시하고 그만 둔 것과 같은 비운의 사례가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당초 우주궤도에 위성을 공중발사하기 위해 개발했지만 2020년 극초음속 항공기를 공중에 발사하는 용도로 전환했다. 극초음속 비행체 '탈론-A(Talon-A)를 매달고 이륙한 다음 공중 발사 비행에 나설 예정이다.
 
===초도 비행===
 
2019년 [[4월 13일]], 미국 모하비 우주공항에서 스트래토런치 첫 시험 비행이 무사히 이루어졌다. 이날 시속 280킬로미터, 고도 1만5천피트까지 오르며 약 2시간 30분 비행을 마친 후 무사히 귀환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18483 역사상 최대 비행기 스트래토런치, 첫 비행 성공]</ref>
 
2021년 [[4월 29일]], 2차 비행 성공
 
===폴 앨런 사망===
 
최초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개발을 주도했던 폴 앨런은 그 완성(초도 비행)을 보지 못하고 2018년 10월 15일 세상을 떠났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93218 세계 최대 비행기 제작하던 폴 앨런 사망,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2018.10.19)]</ref>


2019년, 사모펀드 Cerberus Capital Management가 직원을 충원해 사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2020년 본격적인 테스트 비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2019년, 사모펀드 Cerberus Capital Management가 직원을 충원해 사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2020년 본격적인 테스트 비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 발사체 분리 비행 ===
==초도 비행==
2023년 5월, 모형 발사체를 장착하고 공중에서 분리하는 테스트를 진행했다.<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194233 세계서 가장 큰 비행기, 공중에서 시험용 기체 낙하 성공(2023.5.17)]</ref>
 
==세계 최대 비행기==
 
*[[스트래토런치]]
*[[H-4 허큘리스]]
*[[Mriya]]
*[[A380]]


2019년 4월 13일, 미국 모하비 우주공항에서 스트래토런치 첫 시험 비행이 무사히 이루어졌다. 이날 시속 280킬로미터, 고도 1만5천피트까지 오르며 약 2시간 30분 비행을 마친 후 무사히 귀환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18483 역사상 최대 비행기 스트래토런치, 첫 비행 성공]</ref>


{{각주}}
{{각주}}
[[분류:항공기]]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