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공항 건설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충남 서산에 추진하고 있는 [[서산공항]] 건설
충남 서산에 추진하고 있는 [[서산공항]] 건설


16번째 줄: 15번째 줄:
*2021년 11월, 기재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에 선정<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57748 백령공항·서산공항 건설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ref> 2022년 1월 조사가 시작됐으며 하반기 내 결과 발표 예정<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4325 서산공항, 예비타당성조사 시작 … 하반기 내 결정]</ref>
*2021년 11월, 기재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에 선정<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57748 백령공항·서산공항 건설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ref> 2022년 1월 조사가 시작됐으며 하반기 내 결과 발표 예정<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4325 서산공항, 예비타당성조사 시작 … 하반기 내 결정]</ref>
*2023년 5월,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 선정 탈락 (사유: 532억 사업타당성 부족)<ref>[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510/119216609/1 서산공항, 예타 탈락… 국토부는 계속 추진 방침(2023.5.10)]</ref> → 국토부, 재추진<ref>[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5102&pWise=sub&pWiseSub=C5 국토부, 예타 탈락 ‘서산공항’ 사업 재추진 논의(2023.5.15)]</ref>
*2023년 5월,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 선정 탈락 (사유: 532억 사업타당성 부족)<ref>[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510/119216609/1 서산공항, 예타 탈락… 국토부는 계속 추진 방침(2023.5.10)]</ref> → 국토부, 재추진<ref>[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5102&pWise=sub&pWiseSub=C5 국토부, 예타 탈락 ‘서산공항’ 사업 재추진 논의(2023.5.15)]</ref>
*2023년 12월, 충남도, 개항 시기 2028년(기존 목표 시기 2026년) 확정. 예타 대상 회피 위해 사업비 484억 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비용대비 편익을 1.11로 높여 건설 재추진<ref>[https://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404 서산공항, 2028년 개항...사업비 532억 원에서 484억 원으로 조정(2023.12.13)]</ref>
*2023년 12월, 충남도, 개항 시기 2028년 확정. 예타 대상 회피 위해 사업비 484억 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비용대비 편익을 1.11로 높여 건설 재추진<ref>[https://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404 서산공항, 2028년 개항...사업비 532억 원에서 484억 원으로 조정(2023.12.13)]</ref>


== 논란 ==
== 논란 ==
25번째 줄: 24번째 줄:
=== 노선 한계 ===
=== 노선 한계 ===
기존 전투비행단 [[활주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2개 모두 2700미터 길이다. 국제선 운항을 위해서는 중대형 항공기 운항을 고려해 활주로를 확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현행 시설을 그대로 활용할 경우 서산공항 네트워크는 국내선 일부와 단거리 국제선으로 한정될 가능성이 높다.{{각주}}
기존 전투비행단 [[활주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2개 모두 2700미터 길이다. 국제선 운항을 위해서는 중대형 항공기 운항을 고려해 활주로를 확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현행 시설을 그대로 활용할 경우 서산공항 네트워크는 국내선 일부와 단거리 국제선으로 한정될 가능성이 높다.{{각주}}
[[분류:공항]]
[[분류:항공정책]]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