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 마일리지 제도 개편 논란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2019년 검토를 시작해 여론 수렴을 거쳐 2021년 4월 시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항공 여행이 어려워져 실질적으로 사용 불가능해지자 대한항공은 시행 시기는 2023년 4월로 2년 연기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4591 대한항공, '코로나19' 마일리지 제도 개편 시행 2년 연기(2021.1.6)]</ref>
2019년 검토를 시작해 여론 수렴을 거쳐 2021년 4월 시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항공 여행이 어려워져 실질적으로 사용 불가능해지자 대한항공은 시행 시기는 2023년 4월로 2년 연기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04591 대한항공, '코로나19' 마일리지 제도 개편 시행 2년 연기(2021.1.6)]</ref>


2023년 4월 시행을 앞두고 미주 지역 교민 사회에서 먼저 장거리 노선 차감 마일리지 상향에 불만을 제기하며 미주 지역 한국 언론을 통해 확대되기 시작했다. 논란은 거꾸로 국내 언론을 통해 다시 전파 확대되면서 큰 논란으로 이어졌다.
2023년 4월 시행을 앞두고 미주 지역 교민 사회에서 먼저 장거리 노선 차감 마일리지 상향에 불만을 제기하며 미주 지역 한국 언론을 통해 확대되기 시작했다. 논란은 거꾸로 국내 언론을 통해 다시 전파 확대되면서 큰 논란으로 이어졌고 정치권에서도 마일리지 혜택 축소를 비판하는 등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일자 대한항공은 개편 시행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7461 대한항공, 정부·여론 비판에 "마일리지 개편 재검토"(2023.2.20)]</ref>
 
대한항공은 마일리지 전세기, [[마일리지 좌석]] 할당 확대(5% → 10%) 등의 대안을 제시했지만 여론은 바뀌지 않았고, 정치권과 항공교통 주무기관인 국토교통부의 장관이 직접 나서 마일리지 혜택 축소를 비판하는 등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일자 대한항공은 개편 시행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27461 대한항공, 정부·여론 비판에 "마일리지 개편 재검토"(2023.2.20)]</ref>


== 주요 개편 내용 ==
== 주요 개편 내용 ==
56번째 줄: 54번째 줄:
*[[대한항공 우수회원 제도]]
*[[대한항공 우수회원 제도]]
{{각주}}
{{각주}}
[[분류:마일리지]]
[[분류:항공정책]]
[[분류:대한항공]]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