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와 국적 항공사 경영 위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항공위키
32번째 줄: 32번째 줄:
3월 초 현재 우리나라 국민 혹은 출발자에 대해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나라가 100개국을 넘고 일본마저 자국 입국을 사실상 봉쇄하면서 우리나라 항공사들의 국제선 항공편수는 코로나 사태 이전 대배 90% 가까이 줄어들며 사실상 하늘길은 완전히 전멸된 상황이 되었다.
3월 초 현재 우리나라 국민 혹은 출발자에 대해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나라가 100개국을 넘고 일본마저 자국 입국을 사실상 봉쇄하면서 우리나라 항공사들의 국제선 항공편수는 코로나 사태 이전 대배 90% 가까이 줄어들며 사실상 하늘길은 완전히 전멸된 상황이 되었다.


3월 8일, 한국항공협회는 [[국적 항공사]]의 2월 넷째 주 [[국제선]] 운송실적을 기준으로 피해 규모를 산출한 결과 국적 항공사들은 6월까지 5조 875억 원 매출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3월 8일, 한국항공협회는 [[국적 항공사]]의 2월 넷째 주 [[국제선]] 운송실적을 기준으로 피해 규모를 산출한 결과 국적 항공사들은 6월까지 5조 875억 원 매출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145대 여객기 가운데 100여 대 멈춰 섰으며, 여객 노선 124개 가운데 89개 노선 [[운휴]], 주간 기준 920회 운항횟수는 80% 이상 줄어들었다.<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363501 대한항공, 코로나19 피해 'IMF 비교 안될 정도로 심각하지만 반드시 극복할 것']</ref>


==항공사별 비상경영 대응책==
==항공사별 비상경영 대응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