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역사(11월 22일)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 1901년 ===
=== 1901년 ===
[[라이트 형제]]는 데이튼(Dayton)에서 [[윈드터널|윈드터널(Wind Tunnel, 풍동)]]을 이용한 실험을 시작했다. 비록 단순한 장비였지만 라이트 형제는 이 실험을 통해 혁신적인 비행 원리를 발전시키게 된다.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234/047/5d5f658ed5afd5a1223a5188529b2fde.jpg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234/047/5d5f658ed5afd5a1223a5188529b2fde.jpg
| 설명 = 라이트 형제의 풍동
| 설명 = 라이트 형제의 풍동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라이트 형제]]는 데이튼(Dayton)에서 [[윈드터널|윈드터널(Wind Tunnel, 풍동)]]을 이용한 실험을 시작했다. 비록 단순한 장비였지만 라이트 형제는 이 실험을 통해 혁신적인 비행 원리를 발전시키게 된다.
| 너비 =  
}}
 
=== 1909년 ===
=== 1909년 ===
[[항공기]] 개발을 목적으로 자본금 백만 달러로 라이트 컴퍼니([[Wright Company]]) 설립. 윌버 라이트가 회장, 동생인 오빌 라이트는 부회장을 맡았다.
[[항공기]] 개발을 목적으로 자본금 백만 달러로 라이트 컴퍼니([[Wright Company]]) 설립. 윌버 라이트가 회장, 동생인 오빌 라이트는 부회장을 맡았다.
33번째 줄: 36번째 줄:


=== 1968년 ===
=== 1968년 ===
[[일본항공]] 소속 002편 항공기(DC-8)가 샌프란시스코공항에 짙은 안개 속에 착륙하다가 [[조종사]] 실수로 [[활주로]]가 아닌 무려 4킬로미터 앞 바다에 [[착수]]했다. 승객과 승무원 107명 모두 무사했으나 기체는 55시간 후에나 인양되었다.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userdisk.webry.biglobe.ne.jp/020/700/22/N000/000/004/137341873373413123246_1968_sfo_crash_070813.jpg
| 이미지 = https://userdisk.webry.biglobe.ne.jp/020/700/22/N000/000/004/137341873373413123246_1968_sfo_crash_070813.jpg
| 설명 =일본항공 002편
| 설명 =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일본항공]] 소속 002편 항공기(DC-8)가 샌프란시스코공항에 짙은 안개 속에 착륙하다가 [[조종사]] 실수로 [[활주로]]가 아닌 무려 4킬로미터 앞 바다에 [[착수]]했다. 승객과 승무원 107명 모두 무사했으나 기체는 55시간 후에나 인양되었다.
| 너비 =  
}}
 
=== 1977년 ===
=== 1977년 ===
[[영국항공]](British Airways)이 런던-뉴욕 노선, [[에어프랑스]]가 파리-뉴욕 노선에서 [[SST|초음속 여객기]]인 [[콩코드]] 운항을 시작했다.
[[영국항공]](British Airways)이 런던-뉴욕 노선, [[에어프랑스]]가 파리-뉴욕 노선에서 [[SST|초음속 여객기]]인 [[콩코드]] 운항을 시작했다.
44번째 줄: 50번째 줄:


=== 2003년 ===
=== 2003년 ===
DHL 소속 화물 수송 항공기(A300)가 이라크 바그다드 인근에서 미사일에 의해 공격 당해 날개 구조물과 엔진 하나가 작동 불능 상태에서도 나머지 엔진 한 개로 무사히 착륙해 인명 피해는 없었다. 날개 구조물(Control surface) 작동 불능상태에서 착륙한 항공기 중 인명 피해가 없었던 것은 처음이다.
{{이미지
{{이미지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234/047/dc6a2281a41c8105b1c22fbf61422e6c.jpg
| 이미지 = https://airtravelinfo.kr/files/attach/images/35753/234/047/dc6a2281a41c8105b1c22fbf61422e6c.jpg
| 설명 = 미사일 공격으로 작동 불능상태가 된 날개 구조물
| 설명 = 미사일 공격으로 작동 불능상태가 된 날개 구조물
|스타일=width: 203px; float: right; margin-left: 15px; clear: right;}}DHL 소속 화물 수송 항공기(A300)가 이라크 바그다드 인근에서 미사일에 의해 공격 당해 날개 구조물과 엔진 하나가 작동 불능 상태에서도 나머지 엔진 한 개로 무사히 착륙해 인명 피해는 없었다. 날개 구조물(Control surface) 작동 불능상태에서 착륙한 항공기 중 인명 피해가 없었던 것은 처음이다.
| 너비 =  
}}
 
=== 2007년 ===
=== 2007년 ===
항공교통센터는 중국, 태국 등 동남아 국가와의 [[오픈스카이|항공자유화]] 협정체결로 인한 한·중간 항공교통량 증가에 따른 하늘 길 혼잡해소를 위해 2007년 11월 22일부터 한·중간 수직분리간격축소([[RVSM]]) 시행<ref>[https://www.airtravelinfo.kr/188735 러시아, 몽골 RVSM 시작(2011/11/17)]</ref>
항공교통센터는 중국, 태국 등 동남아 국가와의 [[오픈스카이|항공자유화]] 협정체결로 인한 한·중간 항공교통량 증가에 따른 하늘 길 혼잡해소를 위해 2007년 11월 22일부터 한·중간 수직분리간격축소([[RVSM]]) 시행<ref>[https://www.airtravelinfo.kr/188735 러시아, 몽골 RVSM 시작(2011/11/17)]</ref>
56번째 줄: 65번째 줄:
=== 2021년 ===
=== 2021년 ===
[[하이플라이]](HiFly) 소속 A340-300 항공기가 케이프타운을 거쳐 Wolf's Fang Runway에 착륙했다. 남극 대륙에 착륙한 최대형 항공기라는 기록을 남겼다.{{각주}}
[[하이플라이]](HiFly) 소속 A340-300 항공기가 케이프타운을 거쳐 Wolf's Fang Runway에 착륙했다. 남극 대륙에 착륙한 최대형 항공기라는 기록을 남겼다.{{각주}}
[[분류:항공역사]]
 
__부분편집숨김__
__부분편집숨김__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