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age={{나이|2007|8|31}}
|age={{나이|2007|8|31}}
|airplane = 24대
|airplane = 24대
|pax=7,486,684명(2023년)
|pax=4,492,127명 (2021년)
|revenue=8,904억 원(2023년/별도)
|revenue=1,762억 원 (2021년, 별도매출)
|img=File:HL7510 (10358617715).jpg
|img=File:HL7510 (10358617715).jpg
}}
}}
에어부산(Air Busan): 대한민국 [[저비용항공사]]
에어부산(Air Busan) : 대한민국 [[저비용항공사]]


== 개요 ==
== 개요 ==
24번째 줄: 24번째 줄:
* 2008년 [[10월 27일]], 부산-김포 [[국내선]] 취항
* 2008년 [[10월 27일]], 부산-김포 [[국내선]] 취항
* 2010년 [[3월 29일]], 부산-후쿠오카 [[국제선]] 취항
* 2010년 [[3월 29일]], 부산-후쿠오카 [[국제선]] 취항
* 2013년 5월: 누적 탑승객 1천만 명 돌파
* 2013년 5월 : 누적 탑승객 1천만 명 돌파
* 2017년 6월: 누적 탑승객 3천만 명 돌파
* 2017년 6월 : 누적 탑승객 3천만 명 돌파


===코로나19 사태와 경영 위기===
===코로나19 사태와 경영 위기===
32번째 줄: 32번째 줄:
2022년 6월, 3대1 무상감자 및 2000억 원 규모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7~8월 예정)<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9619 에어부산, 감자·유상증자 연이어 … 재무구조 개선 목적]</ref>
2022년 6월, 3대1 무상감자 및 2000억 원 규모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7~8월 예정)<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99619 에어부산, 감자·유상증자 연이어 … 재무구조 개선 목적]</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자본·부채 현황 (개별, 단위: 억 원)
|+자본·부채 현황 (단위: 억 원)
!구분
!구분
!2018년
!2018년
38번째 줄: 38번째 줄:
!2020년
!2020년
!2021년
!2021년
!2022년
!2022년 9월
!2023년
!비고
!비고
|-
|-
47번째 줄: 46번째 줄:
|1103
|1103
|1305
|1305
| 1267
| 502
|1683
|
|
|-
|-
56번째 줄: 54번째 줄:
|9242
|9242
|8792
|8792
|1조1012
|1조1179
|1조1711
|
|
|-
|-
65번째 줄: 62번째 줄:
|838.17
|838.17
|673.56
|673.56
|869.44
|2227.64
|695.62
|
|
|-
|-
|자본잠식률(%)
|자본잠식률(%)
| N/A
| -
| N/A
| -
| N/A
| -
|32.69
|32.69
| N/A
|56.98
| N/A
|2021년부터 자본잠식 상태
|2021년 부분 자본잠식
|}
|}
{{참고
{{참고
83번째 줄: 78번째 줄:
| 참고3 =  
| 참고3 =  
}}
}}
=== 매각 ===
{{온글
| 온글 = 에어부산 분리 매각
}}{{:에어부산 분리 매각}}


== 특징==
== 특징==
93번째 줄: 83번째 줄:
일반적인 저비용항공 콘셉트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운항 초기에는 국내 항공 소비시장 정서를 고려해 [[수하물]], [[기내식]] 등 대부분 무료로 제공했으나 점차 저렴한 [[운임]]을 지향하면서 수하물, 기내식 모두 유료 서비스로 전환했다.
일반적인 저비용항공 콘셉트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운항 초기에는 국내 항공 소비시장 정서를 고려해 [[수하물]], [[기내식]] 등 대부분 무료로 제공했으나 점차 저렴한 [[운임]]을 지향하면서 수하물, 기내식 모두 유료 서비스로 전환했다.


=== 3060 셔틀 ===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만큼 김해 노선에 공을 들였다. 주력 노선인 김해-김포 노선에서는 [[3060 셔틀]] 개념을 도입해 강력한 스케줄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만큼 김해 노선에 공을 들였다. 주력 노선인 김해-김포 노선에서는 [[3060 셔틀]] 개념을 도입해 강력한 스케줄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 매 정시와 30분 등 30분 간격으로 일정한 항공기 운항 스케줄이 특징이다.


=== 번들 상품 ===
=== 번들 상품 ===
기본 항공권 외에 [[수하물]], [[사전 좌석 지정]], [[라운지]] 등의 상품을 묶은 [[번들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유료 서비스를 개별 구매하는 것보다는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기본 항공권 외에 [[수하물]], [[사전 좌석 지정]], [[라운지]] 등의 상품을 묶은 [[번들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유료 서비스를 개별 구매하는 것보다는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상품
!구분
!항공권
!항공권
!수하물
!수하물
!사전좌석지정
!사전좌석지정
!기타
!기타
!가격<ref>노선별로 차등</ref>
|-
|-
|스마트
|스마트
111번째 줄: 99번째 줄:
|○ (일반좌석)
|○ (일반좌석)
|
|
|31,000 ~ 42,000원
|-
|-
|스마트업
|스마트업
|○ (전 좌석)
|○ (전 좌석)
|부산 출발 라운지
|부산 출발 라운지
|45,000 ~ 62,000원
|-
|-
|스마트플러스
|스마트플러스
123번째 줄: 109번째 줄:
|○ (일반 좌석)
|○ (일반 좌석)
|
|
|31,000 ~ 52,000원
|-
|-
|프리미엄
|프리미엄
|○ (전 좌석)
|○ (전 좌석)
|기내식 + 부산 출발 [[라운지]]
|기내식 + 부산 출발 [[라운지]]
|39,000 ~ 77,000원
|}
|}


=== 라운지 서비스 ===
=== 라운지 서비스 ===
거점 도시/공항인 부산/김해공항에 유료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용료 25,000원/인)  
거점 도시/공항인 부산/김해공항에 유료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 (이용료 25,000원/인)
 
2018년 9월 국적 [[LCC]] 최초로 공항 라운지를 오픈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3월 운영을 잠정 중단, 2023년 2월 재개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289792 에어부산, 국적 LCC 최초로 공항 라운지 개장(2018.9.16)]</ref><ref>[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221/118001136/1 에어부산, 김해공항 내 라운지 재운영(2023.2.21)]</ref>


== 회원 프로그램==
== 회원 프로그램==


*[[Fly & Stamp]]
*[[Fly & Stamp]]
{{참고
| 참고1 = 대한민국 저비용항공사 마일리지 프로그램
| 참고2 =
| 참고3 =
}}


==보유 항공기==
==보유 항공기==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3년 11월
|+2022년 9월
|-
|-
! 항공기 !!보유!!주문!!비고
! 항공기 !!보유!!주문!!비고
154번째 줄: 131번째 줄:
|A320-200|| 6||-||
|A320-200|| 6||-||
|-
|-
|A321-200||9||-||
|A321-200||8||-||
|-
|A321LR||2||-||
|-
|-
|A321neo
|A321NEO
|6
|4
| -
|2
|2023년 2대 추가 도입
|2023년 2대 추가 도입 예정
|-
|-
!계!!21!! !!
!계!!22!!2!!
|}
|}


설립 초기에는 [[아시아나항공]] B737 여객기를 넘겨받아 운용했으나 이후 2016년 경 모두 퇴출하고 현재는 A320 계열 기종으로 단일화해 운용하고 있다. 2020년 3월 18일 에어부산의 첫 A321neo가 인천으로 도입되었다.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A321neo를 운영 중이다.
설립 초기에는 [[아시아나항공]] B737 여객기를 넘겨받아 운용했으나 이후 2016년 경 모두 퇴출하고 현재는 A320 계열 기종으로 단일화해 운용하고 있다. 2020년 03월 18일 에어부산의 첫 A321neo가 인천으로 도입되었다.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현재국내에서 가장많은 A321NEO를 운영중이다.


==기타==
==기타==


=== 지분률 ===
=== 지분 구조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23년 11월 기준
|+2022년 9월 30일 기준
!주주
!주주
!비중(%)
!비중(%)
178번째 줄: 159번째 줄:
|41.89
|41.89
|모기업, 대주주
|모기업, 대주주
|-
|부산시 & 부산지역 기업
|16.11
|동일(3.3%), 서원홀딩스(3.1), 부산시(2.91%) 아이에스동서(2.7%), 부산은행(2.5%), 세운철강(1.0%) 등
|-
|-
|우리사주
|우리사주
187번째 줄: 164번째 줄:
|
|
|}
|}
=== 지배 구조 ===
금호고속 외 특수관계인 → 금호건설 → [[아시아나항공]] → [[에어부산]]


==사건/사고==
==사건/사고==
202번째 줄: 176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분류:항공사]]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