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토글
로그인하지 않음
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 편집하기

항공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5번째 줄: 15번째 줄:
|caption=대한항공 A380}}
|caption=대한항공 A380}}
[[대한항공]](大韓航空, Korean Air):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대 [[항공사]]이다.
[[대한항공]](大韓航空, Korean Air):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대 [[항공사]]이다.
==개요==
==개요==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의 요청으로 한진상사(대표 [[조중훈]])가 인수한 [[대한항공공사]]를 바탕으로 1969년 [[3월 1일]]({{나이|1969|3|1}}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대 항공사이다. 2023년 기준 1027만 명 수송, 연결재무 기준 16조 1118억 원(별도재무 기준 14조 5751억 원) 매출을 기록했다.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의 요청으로 한진상사(대표 [[조중훈]])가 인수한 [[대한항공공사]]를 바탕으로 1969년 [[3월 1일]]({{나이|1969|3|1}}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대 항공사이다. 2019년 기준 2761만 명 수송, 연결재무 기준 12조 6,918억 원(별도기준, 12조 3,003억 원) 매출을 기록했다.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하고, 경쟁당국 승인 등 통합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하고 관련 통합을 진행하고 있다.
==연혁==
==연혁==


46번째 줄: 48번째 줄:
*2022년 [[2월 13일]], 첫 B737 MAX(B737-8) 기종 도입
*2022년 [[2월 13일]], 첫 B737 MAX(B737-8) 기종 도입
*2022년 [[10월 27일]], 첫 A321neo 기종 도입
*2022년 [[10월 27일]], 첫 A321neo 기종 도입
*2024년 [[3월 14일]], 영종도에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 공장 기공식<ref name=":200">[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04614 대한항공,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공장 기공식(2024.3.15)]</ref>
*2024년 [[3월 14일]], 영종도에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 공장 기공식<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04614 대한항공, 아시아 최대 엔진 정비공장 기공식(2024.3.15)]</ref>


===아시아나항공 인수===
===아시아나항공 인수===
65번째 줄: 67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자본·부채 현황(개별, 단위: 억 원)
|+자본·부채 현황(개별, 단위: 억 원)
!구분
! 구분
!2018년
!2018년
!2019년
!2019년
83번째 줄: 85번째 줄:
|
|
|-
|-
|부채총계
| 부채총계
|21조4835
|21조4835
|22조9399
|22조9399
103번째 줄: 105번째 줄:
|-
|-
|자본잠식률(%)
|자본잠식률(%)
| N/A
| N/A
| N/A
| N/A
|N/A
|N/A
|N/A
| N/A
|N/A
|N/A
|N/A
|N/A
|
|
|}
|}
119번째 줄: 121번째 줄:
기본적으로 여객 및 화물 운송사업이 주된 사업이지만 대한항공은 항공기 관련 제작,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항공우주사업본부를 주축으로 군용 항공기 정비사업([[MRO]]), 보잉·에어버스 등 대형 항공기 제조사에 항공기 부품 제작 공급, 드론 등 무인 항공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기본적으로 여객 및 화물 운송사업이 주된 사업이지만 대한항공은 항공기 관련 제작,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항공우주사업본부를 주축으로 군용 항공기 정비사업([[MRO]]), 보잉·에어버스 등 대형 항공기 제조사에 항공기 부품 제작 공급, 드론 등 무인 항공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항공우주사업===
=== 항공우주사업 ===
{{온글
{{온글
| 온글 =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
| 온글 =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
125번째 줄: 127번째 줄: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


===MRO===
=== 도심항공교통 사업 ===
{{온글
| 온글 = 대한항공 MRO
}}{{:대한항공 MRO}}
===도심항공교통 사업 ===
2021년에는 [[UAM]](도심항공교통) 사업 진출을 위해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유관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9553 대한항공, 도심항공교통 진출 ·· 무인기·드론개발·항공교통체계 경쟁력 보유]</ref>
2021년에는 [[UAM]](도심항공교통) 사업 진출을 위해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유관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19553 대한항공, 도심항공교통 진출 ·· 무인기·드론개발·항공교통체계 경쟁력 보유]</ref>


===기내 인터넷 ===
=== 기내 인터넷 ===
2005년 [[보잉]]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CBB]]에 참여했지만 사업성을 이유로 보잉이 사업을 접는 바람에 [[기내 인터넷]] 서비스는 이어지지 않았다. 이후 2018년 소형급 기종인 [[A220]] 도입과 함께 인터넷 서비스 준비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시 A220 기종은 [[기내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만 가능했을 뿐 실질적인 인터넷 서비스는 이뤄지지 않았다. 2023년 6월 신기종 A321neo 도입과 함께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했다.
2005년 [[보잉]]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CBB]]에 참여했지만 사업성을 이유로 보잉이 사업을 접는 바람에 [[기내 인터넷]] 서비스는 이어지지 않았다. 이후 2018년 소형급 기종인 [[A220]] 도입과 함께 인터넷 서비스 준비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시 A220 기종은 [[기내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만 가능했을 뿐 실질적인 인터넷 서비스는 이뤄지지 않았다. 2023년 6월 신기종 A321neo 도입과 함께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했다.


142번째 줄: 140번째 줄:
|+2023년 11월 기준
|+2023년 11월 기준
|-
|-
!기종!!보유!!주문!!비고
!기종!! 보유!!주문!!비고
|-
|-
|A220-300||10||-||
|A220-300||10||-||
|-
|-
|A321neo||9||41||옵션 20대 별도<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34887 대한항공도 A321neo 30대 구매 계약 체결]</ref>, 2022년 10월 27일 첫 기체 도입<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3199 대한항공 첫 A321neo 항공기 도착 … 12월 국내선 투입 (2022.10.27)]</ref>
|A321neo||9||41 ||옵션 20대 별도<ref>[https://airtravelinfo.kr/xe/air_news/1134887 대한항공도 A321neo 30대 구매 계약 체결]</ref>, 2022년 10월 27일 첫 기체 도입<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513199 대한항공 첫 A321neo 항공기 도착 … 12월 국내선 투입 (2022.10.27)]</ref>  
|-
|-
|A330-200||7||-||
|A330-200||7||-||
163번째 줄: 161번째 줄:
|2024년 계약
|2024년 계약
|-
|-
|A380-800||10||-||3대 [[파트아웃]] 작업(2024년)
|A380-800||10||-||
|-
|-
|B737-800||2||-||
|B737-800||2||-||
172번째 줄: 170번째 줄:
|6||-||
|6||-||
|-
|-
| B737 MAX 8||5||25||옵션 20대 별도, 2019년 [[B737 MAX 비행 중지 사태]]로 도입 연기<br />2022년 2월, 첫 기체 인도<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8884 대한항공 B737 MAX 8 첫 기체, 어제 김포 도착]</ref>
|B737 MAX 8||5||25||옵션 20대 별도, 2019년 [[B737 MAX 비행 중지 사태]]로 도입 연기<br />2022년 2월, 첫 기체 인도<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78884 대한항공 B737 MAX 8 첫 기체, 어제 김포 도착]</ref>
|-
|-
|B747-400
|B747-400
179번째 줄: 177번째 줄:
|
|
|-
|-
|B747-400F||4||-||화물기
|B747-400F||4||-|| 화물기
|-
|-
|B747-8i||10||-||1대는 [[대통령 전용기]]로 임대
|B747-8i||10||-||1대는 [[대통령 전용기]]로 임대
195번째 줄: 193번째 줄:
|B777F||12||-||화물기
|B777F||12||-||화물기
|-
|-
|B787-9||11||9|| B787 총 30대 도입(옵션 10대 포함)
|B787-9||11||9||B787 총 30대 도입(옵션 10대 포함)
|-
|-
|B787-10||-||20||
|B787-10 ||-|| 20||
|-
|-
!계!!162!!128!!
!계!!162!!128!!
204번째 줄: 202번째 줄:
|}
|}
2024년 3월, 에어버스 A350 기종 33대 도입 계획 발표. 4월 계약 체결 (A350-1000 27대, A350-900 6대)<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06829 대한항공, A350 항공기 33대 도입 … 18조 원 규모(2024.3.21)]</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17985 대한항공, A350 항공기 33대 도입 계약 체결(2024.4.3)]</ref>
2024년 3월, 에어버스 A350 기종 33대 도입 계획 발표. 4월 계약 체결 (A350-1000 27대, A350-900 6대)<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06829 대한항공, A350 항공기 33대 도입 … 18조 원 규모(2024.3.21)]</ref><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617985 대한항공, A350 항공기 33대 도입 계약 체결(2024.4.3)]</ref>
2019년에 이어 2024년, 보잉이 개발 중인 B777 개선 버전 [[B777X]] 기종 도입 소식이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대한항공과 보잉이 B777X 여객기 10대 도입을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ref>[https://view.mk.co.kr/economy/article/66152/ 대한항공, 보잉 777X 10대 도입 검토(2024.4.25)]</ref>
=== A380 퇴출 ===
2010년대 후반 들어서면 항공교통의 흐름이 [[허브 앤 스포크]] 형태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로 바뀜에 따라 2011년 도입한 초대형 항공기 A380 기종의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기 시작했다. 결국 2021년 A380 기종을 퇴출시키기로 결정했다. 2023년 A380 기종 10대 모두를 송출하려 했지만 세계 항공기 시장에서 A380을 도입하려는 항공사가 없었다. 결국 2024년 대한항공 임차 3대는 반환하고 나머지 구매 7대는 [[Part out|파트아웃]]하기로 방향을 선회했다. 우선 3대에 대해 4월부터 파트아웃 작업에 들어갔다.
=== B747 퇴역 ===
2019년 말 B747-400 여객기 퇴역을 시작했다. 2019년 10월 기준 B747-400 기종은 여객기 2대, 화물기 3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여객기를 퇴출하기로 한 것이다. <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345066 대한항공 영광 이끈 하늘의 여왕 B747-400 여객기 퇴역 추진(219.10.22)]</ref>
2021년, A380 퇴출 계획과 함께 B747-8 기종 역시 10년 내 퇴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이었으며 대형 항공기의 미래가 매우 암울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ref>[https://airtravelinfo.kr/air_news/1436880 대한항공도 초대형 A380 퇴출, B747-8i도 10년 안에 내보낸다(2021.8.20)]</ref> 2024년 5월, 이사회에서 B747-8i 항공기 5대를 미국 우주항공기업 '시에라 네바다'에 매각(2025년까지, 9183억 원)하기로 결정했다.


==사건 / 사고 ==
==사건 / 사고 ==
221번째 줄: 209번째 줄:
*[[물컵갑질]](2018년): [[조현민]] 당시 대한항공 전무가 광고 회의 관련해 물컵을 집어던진 사건으로 인한 논란이다. 이 사건은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진에어 국토부 제재]] 등을 불러왔다.
*[[물컵갑질]](2018년): [[조현민]] 당시 대한항공 전무가 광고 회의 관련해 물컵을 집어던진 사건으로 인한 논란이다. 이 사건은 [[진에어 면허 취소 논란]], [[진에어 국토부 제재]] 등을 불러왔다.
*[[땅콩회항]](2014년): [[조현아]]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이 땅콩 서비스를 문제삼아 항공기를 되돌려 [[사무장]]을 하기시킨 갑질 사건으로 국민의 공분을 불러왔다.
*[[땅콩회항]](2014년): [[조현아]]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이 땅콩 서비스를 문제삼아 항공기를 되돌려 [[사무장]]을 하기시킨 갑질 사건으로 국민의 공분을 불러왔다.
*[[대한항공 801편 사고]](1997년): 괌공항 접근 과정에서 추락해 탑승자 228명이 사망한 [[항공사고]]이다.
* [[대한항공 801편 사고]](1997년): 괌공항 접근 과정에서 추락해 탑승자 228명이 사망한 [[항공사고]]이다.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1982년): 소련 영공에서 [[전투기]]의 공격으로 추락해 탑승자 269명 전원 사망한 사건이다.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1982년): 소련 영공에서 [[전투기]]의 공격으로 추락해 탑승자 269명 전원 사망한 사건이다.
*[[대한항공 902편 피격 사건]](1978년): 파리를 출발해 서울로 비행 중 소련 영공 침범해 전투기에 의해 피격, 무르만스크 인근 호수에 비상착륙한 사건이다.
* [[대한항공 902편 피격 사건]](1978년): 파리를 출발해 서울로 비행 중 소련 영공 침범해 전투기에 의해 피격, 무르만스크 인근 호수에 비상착륙한 사건이다.


==기타==
==기타==
항공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항공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이 문서를 편집하려면 아래에 보이는 질문에 답해주세요 (자세한 정보):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