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4일, 몽골 울란바타르 신 공항 개항

Profile
상주니
  • 4일, 몽골 수도 울란바타르 신 공항 개항
  • 몽골 도심에서 남쪽으로 50킬로미터 위치, 구 공항 운항 조건 개선

몽골 수도 울란바타르를 지원하는 신 공항이 4일 개항, 운영에 들어갔다.

기존 울란바타르공항이 지형적 환경 때문에 강한 바람 등이 부는 조건에서는 이착륙이 어려워 반쪽 공항이라는 불리는 단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새롭게 건설한 것이다.

 

울란바타르공항의 정식 명칭은 울란바타르 칭기즈칸국제공항이다. 2008년 일본은행 투자로 신공항 건설이 본격 논의되었고 2016년 개항을 목표로 했지만 상당기간 지연 끝에 정식 개항하게 됐다.

신 공항은 수도 울란바타르에서 남쪽으로 약 50킬로미터에 위치한 공항으로 3600미터 길이 활주로 1본으로 연간 최대 2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4일 몽골 국영 항공사인 MIAT 몽골항공이 신 울란바타르공항을 떠나 일본 도쿄 나리타공항으로 비행했다. 신 울란바타르공항에는 아에로플로트, 앙가라항공 등을 포함한 12개 항공사가 취항한다.

신 공항 명칭은 '칭기즈칸'으로 원래 기존 공항(ULN) 명칭이었지만, 신 공항이 몽골을 대표하는 관문공항이기 때문에서 '칭기즈칸' 이름을 사용하기로 했다. 구 울란바타르공항의 이름을 '부얀트우카공항(Buyant-Ukhaa International Airport)'으로 변경했다.

 

신 울란바타르공항
울란바타르공항 여객터미널

 

울란바타르공항이 이전 공항에서 명칭은 가져왔지만 공항코드 등은 새롭게 부여받았다. 

공항 명칭 IATA ICAO 비고
신 울란바타르공항 Chinggis Khaan International Airport UBN ZMCK  
구 울란바타르공항 Buyant-Ukhaa International Airport ULN ZMUB 칭기즈칸 → 부얀트우카


우리나라에서는 몽골항공과 대한항공이 양국 항공사로 단독 취항했었지만 2019년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에게도 취항 기회가 주어지면서 소비자의 선택폭이 넓어졌다. 그러나 현재는 지난해 발생한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부정기 전세편 등 운항에 머물며 정상적인 운항은 어려운 상태에 있다.

 

작성자의 다른 글
댓글
0
Profile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